은행 BIS기준 총자본비율 13.96%…6월말 대비 0.13%p↓
9월말 국내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본비율이 소폭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9월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은 13.96%로 지난 6월말 대비 0.13%포인트 하락했다고 25일 밝혔다. 기본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도 각각 11.53%, 11.00%를 기록해 0.13%포인트, 0.12%포인트씩 내렸다.
금감원은 3분기중 국내은행의 총자본비율이 하락한 것은 위험가중자산 증가율(3.7%↑)이 총자본 증가율(2.7%↑)을 웃돌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 국내은행의 총자본은 3조9000억원 당기순이익 발생, 1조2000억원 규모의 증자 및 자본증권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으로 5조3000억원 늘었다.
위험가중자산은 원화대출금 증가 및 환율상승에 따른 원화환산액이 증가해 신용위험가중자산을 중심으로 51조3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별 총자본비율은 씨티은행(16.76%), KB국민은행(16.14%)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수출입은행(9.44%), 수협(12.01%), IBK기업은행(12.65%)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위치했다.
9월말 은행지주회사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3.66%로 6월말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기본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1.35%, 10.70%를 기록해 0.01%포인트, 0.03%포인트씩 하락했다.
이 기간 은행지주사의 총자본비율이 상승한 것은 총자본 증가율(1.7%↑·2조원)이 위험가중자산 증가율(1.5%↑·13조원)을 상회했기 때문이다.
총자본은 1조6000억원 당기순이익 발생, 2000억원의 바젤Ⅲ 신종자본증권 발행 및 4000억원 자회사 후순위채 발행으로 2조원 증가했다. 위험가중자산은 자회사의 대출확대와 환율상승에 따른 신용위험가중자산 증가 등으로 늘었다.
은행지주회사별로는 KB금융(15.72%), SC금융(14.32%)의 총자본비율이 상위권에 올랐다. BNK금융(11.59%), JB금융(11.95%)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