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재난안정통신망 수주에 이어 재난망사업 탄력

 


KT가 재난 상황에 대비한 ‘백팩 LTE’, ‘드론 LTE’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24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일 조달청과 ‘2015년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 계약 체결에 발맞춘 것이다.

KT는 지난 20일 조달청과 재난망 구축사업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평창지역을 중심으로 공공안전 LTE (Public Safety LTE, PS-LTE) 기반 재난관련 단일 통신망을 구축하고 운용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KT는 시범사업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해 실제 재난상황을 담은 20개 시나리오별 종합테스트를 한다. 이를 위해 KT는 광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을 연계한 이른바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Triple GiGA Network)’로 통신망을 최대치로 강화한다.

KT는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솔루션도 소개했다. ‘드론 LTE’, ‘백팩 LTE’, ‘위성 LTE’가 여기 속한다.

드론 LTE는 통신 기지국 핵심장비를 드론에 탑재한 신개념 이동기지국 솔루션이다. KT는 드론 LTE가 세계 최초 초경량·초소형 비행 기지국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지난 10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드론 시범사업자로 선정되어 드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재난재해가 발생할 때 사람이나 차량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고립된 지역에 신속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드론을 띄우는 편대 비행방식을 적용하면 넓은 지역에 통신망을 확보할 수 있다.

솔루션에 적용된 드론 스테이션 기술은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드론의 단점을 보완해 장시간 통신을 가능케 한다. 드론 스테이션은 배터리가 방전된 드론을 차례로 착륙시켜 급속 충전 한 후 다시 이륙시키는 드론 정거장이다.

백팩 LTE는 기존 LTE 기지국을 배낭 형태로 축소시켜 무게가 총 9kg에 불과한 이동형 기지국이다. 지난 7월 개발착수 이후 이번에 첫 번째 상용 모델이 나왔다. 기지국 신호가 약한 산악 지역이나 이동기지국 차량이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력이 백팩 장비를 메고 출동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성 LTE는 위성을 전송망으로 이용해 광케이블과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망 구축이 어려운 해상지역, 도서지역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KT는 비상상황을 대비해 독도와 백령도,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와 세종 과학기지에 위성 LTE를 구축해 서비스 하고 있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KT는 재난재해 상황에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솔루션들을 개발해왔다”며 “국민기업으로서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을 완벽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