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금융위에 결과 제출
은행연합회 직원 80여명이 신설 신용정보기관으로 이직할 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신설 신용정보집중기관이 내년 1월 차질 없이 설립·운영 되기 위해서는 은행련 경력자들의 이직이 관건이기 때문이다.
신설 신용정보기관은 산하기관 구현 방식과 정부의 민간 정보 침탈이라는 논란을 겪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9일 1차로 신용정보집중기관 이직 신청 접수를 마감했다. 또 12일 이직 신청 접수를 최종 마감해 13일 금융위에 결과를 제출한다.
신용정보기관 설립 관련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1차 신청 결과 50여 명이 이직을 신청했다. 그러나 신용정보집중기관에 꼭 필요한 인원인 신용정보부와 전산부의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은행련 전산부는 신용정보기관 설립 후에도 은행련에 일부 기능이 남아있기에 직원들이 새 직장으로 가지 않으려는 부분이 있다"며 "신용정보부도 순환 보직이기에 은행련에 남아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용정보부는 부서원 모두가 이직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지금 인원으로도 업무를 감당 하기에 빡빡한데 일부라도 은행련에 남는다면 신설 신용정보기관에서도 인원 공백이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행연 신용정보부와 전산부 직원들의 이직 신청이 적은 것은 이들이 같은 임금 조건에서 새 직장으로의 이직을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연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이 이직 설명회를 열었지만 임금이나 대우 등 은행연보다 나은 조건은 없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새 조직에 적응해야 하고 신설 기관이 어떻게 될 지 미래도 모르기에 이직을 고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연 부장급들은 신설 기관으로의 이직을 이미 신청했거나 신청하려는 상황이다. 심현섭 은행련 신용정보부장은 이미 이직을 신청했다. 안승채 전산부장도 "나도 아마 신설 신용정보기관으로 가지 않겠냐"고 말했다.
반면 기술정보부 직원 30여명은 대부분 이직을 신청했다. 신용정보부 설립 후 은행연 기술정보부 기능과 부서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남동우 금융위원회 신용정보팀장은 "이직 최대 인원을 80명으로 잡았다. 은행연 신용정보부와 전산부 핵심 인력들이 오고 다른 협회 전산인력들이 오면 신용정보기관이 돌아가니 몇 명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며 "다만 신설 기관이 안정적이기 위해서 가급적 많이 지원할 수록 좋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신용정보집중기관 이사회를 7인으로 구성하고 이사회 과반수를 은행연합회가 추천하도록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융위가 신용정보기관의 실질적 운영 주체로 정부에 의한 민간 신용 정보 침해라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