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기준치보다 낮아...적정 섭취 가이드라인 제시 예정
햄·소시지 등 가공육과 적색육 섭취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소비자들의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식약처가 진화에 나섰다.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햄·소시지 등의 가공육과 적색육을 발암물질로 분류한 것에 대해 현재 대부분 국민이 섭취하는 양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밝혔다.
실제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 가공육 섭취량은 1일 평균 6.0g 수준이었다. WHO는 가공육을 매일 50g 섭취 시 암 발생률이 18%씩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한국인의 가공육 섭취 수준은 WHO가 발표한 기준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적색육의 경우도 1일 평균 섭취량은 61.5g 정도로 WHO가 발표한 매일 100g 섭취 시 암 발생률이 17%씩 증가한다는 내용과 비교할 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다만 적색육 섭취가 많은 성인 남성과 가공육 섭취가 많은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채소 등 다양한 식품 섭취, 적당한 운동, 균형 있는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식약처는 국민 건강을 위한 적정 섭취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국인 식생활 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가공육과 적색육 소비가 증가하는 상황 등을 반영한 것이다.
식약처는 올해부터 학계 및 관련기관과 함께 외국의 섭취권고 기준 및 설정 근거 등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식생활 실태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 하반기부터 가공육 및 적색육의 섭취 가이드라인을 단계적으로 제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들의 과도한 가공육 섭취를 예방하기 위해 가공육 육함량 표시제 도입과 스스로 먹는 양을 알 수 있도록 스마트폰용 앱 등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 협의체와 식품·의학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해 실태 조사 및 관련 연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