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와 합병으로 SK브로드밴드 우회상장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지분 인수 계획이 공시됐다./표=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SK텔레콤이 케이블TV업계 1위인 CJ헬로비전을 전격 인수한다.

SK텔레콤은 2일 이사회에서 CJ오쇼핑이 소유한 CJ헬로비전 지분 30% 인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비상장사인 SK브로드밴드는 CJ헬로비전과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 된다. 합병 결정은 내년 초 주주총회에서 나오며 오는 4월 결정될 예정이다.

CJ헬로비전 대 SK브로드밴드 지분 1 대 0.4756554이 합병 비율이다. 합병 법인에 대한 SK텔레콤의 지분율은 75.3%이다. SK텔레콤은 CJ 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잔여 지분 23.9%을 양사 간 콜옵션·풋옵션 행사로 인수할 수 있다. 합병 후 예상되는 CJ 오쇼핑의 지분율은 8.4%이다.

CJ주식회사에 1500억 투자도 결정됐다. SK텔레콤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을 사용한다. SK텔레콤은 케이블 업체인 CJ헬로비전 인수와 CJ주식회사 투자를 통해 미디어 사업 역량을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

SK브로드밴드는 현재 IPTV등 방송·초고속 인터넷 사업을 하고 있다. CJ헬로비전은 케이블 방송과 알뜰폰 사업을 하는 CJ계열사다. CJ는 국내 최초 클라우드 방송을 시도하고 초고화질(UHD) 방송을 상용화하는 등 방송·통신 플랫폼 업계를 이끌고 있다.

이번 결정으로 SK와 CJ 양사는 각각 자사의 플랫폼, 콘텐츠 사업 역량을 강화한다. SK텔레콤은 미디어를 합병 법인의 주력 사업으로 정했다. 앞으로 케이블 방송과 IPTV의 융합을 통해 서비스를 다양화하는 사업모델이 마련된다. SK텔레콤은 이를 기반으로 고객이 가정에서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최고의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 회사’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과 CJ그룹은 미디어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100억 규모 펀드를 운용한다. 각 500억원 규모 2개 펀드(총 1천억원)를 조성해 운용한다.

이중 SK텔레콤과 CJ E&M이 서로 250억원씩 출자하는 펀드는 미디어 콘텐츠 영역에 투자한다. SK텔레콤과 CJ오쇼핑이 250억원씩 출자하는 펀드는 IT 스타트업 중심으로 투자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SK텔레콤은) 혁신적 기업인 CJ헬로비전이 SK텔레콤이 추진하는 ‘생활가치’, ‘IoT’ 및 ‘미디어’ 3대 차세대 플랫폼 사업에서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