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보다 소폭 축소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서울 반전세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은 연 6.4%로 지난해 같은 기간(7.2%)에 비해 0.8%포인트 하락했다.
1분기 6.7%에서 2분기 6.9%로 소폭 상승했지만 3분기에는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서울시가 29일 공개한 3분기 전월세전환율에 따르면 종로구(7.51%), 금천구(7.45%)가 높게 나왔고, 양천구가 5.9%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종로·중구·용산구를 포함한 도심권이 7%로 높았고, 강남3구와 강동구를 포함하는 동남권이 6.28%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로는 도심권, 서북권, 동북권, 서남권 순으로 강북의 월세전환율이 높게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도심권 단독다가구의 전환율이 8.1%로 최고수준이었고, 동북권 아파트가 5.92%로 가장 낮았다.
보증금 규모별로 1억원 이하의 전환율이 7.4%로 1억 초과 경우보다 약 1.7%포인트 높았다. 전세금이 낮을수록 월세 전환에 따르는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또 오피스텔·원룸의 전월세전환율은 7%로,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일반주택보다 높았다.
서울시 정유승 주택건축국장은 "월세 계약이 많아지면서 전월세전환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며 "여전히 시중 금리보다 높은 수준이라 서민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