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제공

올해 3분기 수출입 대금 결제에서 달러와 엔화 비중은 감소한 반면 위안화 비중은 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8일 집계한 ‘3분기 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자료를 보면 7∼9월 한국의 수출 결제대금 중 달러화 비중은 86.1%로 2분기보다 0.1%포인트 줄었다.

엔화 결제 비중은 2.7%로 지난 분기보다 0.2%포인트 낮아지면서 사상 최저였던 지난 1분기와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3분기 중 미국에 대한 수출이 지난 분기보다 8.9% 감소하고 일본 수출은 12.9%나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타통화는 위안화를 중심으로 0.2%포인트 상승한 3.7%를 기록했다. 위안화 결제 비중은 올 1분기 0.5%, 2분기 0.9%에서 3분기에도 0.3%포인트 오른 1.2%를 나타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화 결제비중은 2.5%로 지난 분기보다 0.1%포인트 높아졌고 유로는 5.1%로 지난 분기와 같았다. 전체 수출 대금 중에서는 달러·유로·엔·원 등 4개 통화의 결제 비중이 전체의 96.4%를 차지했다.

3분기 수입대금 결제 비중은 달러화가 81.8%로 2분기와 변동이 없었다. 엔화는 지난 분기보다 0.2%포인트 하락한 5.3%였고, 원화 비중은 4.7%로 0.1%포인트 줄었다.

유로는 6.5%로 0.2%포인트 상승했고 기타통화는 0.1%포인트 오른 1.8%였다.

지역별로는 3분기에 중국 수출 대금 중 위안화 비중은 3.4%, 수입 대금 중 위안화 비중은 3.3%로 집계돼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3%대로 올라섰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