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대책위원회도 접수, 반올림은 보상위 반대입장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마련한 보상위원회에 보상을 신청한 인원이 61명이라고 23일 밝혔다. 가족대책위원회 소속 5명도 여기 속한다. 삼성전자는 심사 후 보상 받기로 확정된 신청자는 빠르면 추석 직후 보상금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신청은 12월 31일 까지다.
보상위는 신청자를 심사한 뒤 당사자가 보상 대상인지, 또 얼마나 보상금을 받을 수 있을지를 결정한다. 삼성전자는 보상 기준을 세우면서 조정위원회 권고안을 최대한 존중했다는 입장이다. 반도체와 LCD공장에서 일했던 퇴직자와 협력사 직원까지 보상범위에 속한다는 내용이 이 부분에 들어간다.
삼성전자는 9월 3일 자체 보상위원회를 꾸리고 18일부터 신청자 접수에 들어갔다. 반올림 소속이던 가족대책위원회 6명은 지난달 10일부터 삼성과 직접 협상을 시작했다. 지금은 보상위 안에 반대하는 정애정 가대위 간사를 제외한 5명이 보상위에 참여한 상태다.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은 보상위가 내놓은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반올림은 삼성전자가 중립적인 중재 기구인 조정위원회의 권고안을 무시하고 자체 보상창구를 들었다고 주장한다.
반올림은 삼성전자가 발표한 보상위 보상 기준도 조정위 권고안과 다르다고 지적한다. 1996년 1월 1일 전 퇴직자나 유산, 불임 환자 등이 보상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일부 질병에 대한 최대 잠복기간을 14년에서 10년으로 줄여 퇴사한 지 오래된 퇴직자도 보상을 받을 수 없다고 반올림은 설명했다.
무엇보다 삼성전자가 독립적인 공익법인을 설립하라는 조정위 안을 보상위 내용에서 뺀 것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반올림 소속 이종란 노무사는 “보상금을 투명하게 지급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야할 법인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