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추석 연휴에 추석 인사, 선물 배송 택배회사, 결혼청첩장 등 지인을 사칭한 스미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3일 밝혔다. 미래부는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다. 문자메시지내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돼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 소액결제 피해 발생 또는 개인·금융정보 탈취가 일어난다.
최근 스미싱 탐지 건수는 지난해 400만건에서 올해 8월 기준 130만건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스미싱 탐지 건수 중 ▲결혼청첩장(61%), ▲택배회사(31%) 등을 사칭한 스미싱 비율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명절 이틀 전에 스미싱 문자가 급증했다”며 “올해에도 명절을 앞두고 스미싱이 늘어나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택배회사는 설 선물 배송과 관련해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한 안내 메시지(SMS)를 보내지 않는다. 관련 문자를 수신할 경우,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는 악성 앱이 설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스마트폰의 보안 설정을 확인·수정해야 한다.
미래부는 추석 연휴동안 스미싱 유포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신고·접수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하고 악성앱 유포지를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또 스미싱에 이용된 번호를 중지하고 차단해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연휴 기간 중 스미싱 의심 문자를 수신했거나 악성코드(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국번 없이 118로 신고하면 된다. 신고자는 2차 피해예방과 악성코드(앱) 제거 방법 등을 무료 상담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