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일 평균 38억1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43억8000만 달러로
2004년 말 외환동시결제(CLS·Continuous Linked Settlement) 시스템을 도입한 지 10년 만에 참여 금융기관 수는 약 10배, 거래 규모는 14배 늘어났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CLS 시스템에 참여하는 국내 금융회사는 도입 초기 4개 은행(외환·국민·HSBC·뱅크오프아메리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말 38개 은행(국내 18곳, 외은 지점 20곳)으로 늘었다.
이중 결제계좌를 보유하고 CLS를 직접 처리하는 은행은 2곳에서 3곳으로 늘었으며 나머지 35곳은 결제회원을 통해 위탁처리한다.
CLS는 17개 결제 통화국을 연결해 외환거래 때 동시 결제를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국가 간 시차 문제 때문에 매도 통화를 지급한 상황에서 매입 통화는 받지 못하는 불편을 막고자 2004년 도입됐다.
CLS 시스템을 통해 결제한 외환거래 금액(일 평균 기준)은 2005년 38억1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43억8000만 달러로 14.3배 증가했다. 이중 원/달러 거래가 매년 90%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CLS 시스템으로 결제되는 17개 통화 중 원화 비중은 0.47%(251억8000만 달러)로 이스라엘 셰켈(0.14%)에 이어 두 번째로 낮다.
한국은행은 “CLS 시스템이 외환결제 리스크 감축 및 결제 유동성 절감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참가 금융회사의 결제유동성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국내 CLS 공동망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