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6만가구 달해...공급은 3만가구 불과

자료: 부동산114 제공

서울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으로 내년까지 이주해야 할 가구수가 6만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지역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계획 단계의 재건축·재개발 구역을 확인한 결과 총 113곳, 6만1970가구로 집계됐다.  

강동구가 1만2252가구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은평·서대문·성북·강남·서초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0 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의 이주가 전월세 불안을 부채질 할 것으로 보인다.

재건축 이주는 강동구 둔촌동과 상일동 일대에서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이주가 예정된 가운데, 강남구 개포동 시영(1970가구)과 주공3단지(1160가구), 마포구 아현동 아현제2구역(1234가구), 서초구 서초동 무지개(1074가구) 등 강남권을 중심으로 대형 단지의 이주가 예상되고 있다.

재개발은 서대문구 북아현동 북아현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에서 3695가구의 대규모 이주가 예상된다.  은평구 응암동 응암제2구역(2234가구),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1재정비촉진구역(1808가구), 양천구 신월동 신정1-1지구(1748가구), 송파구 거여동 거여2-1지구(1448가구), 성북구 길음동 길음1재정비촉진구역(1350가구) 등 강북권을 중심으로 매머드급 이주를 앞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건축·재개발 이주 기간은 3~4개월로 짧은 편이어서 단기간에 1000여 가구 이상이 이주하면 인접 지역의 전·월세 시장이 들썩인다.

특히 같은 기간 입주 아파트는 이주 물량에 크게 못 미치는 3만가구 수준이어서 수급 불일치에 따른 전·월세 불안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이주 물량 대비 2016년까지 예정된 공급(입주)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서 내년에도 전·월세 불안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