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약매입 거래 70% 넘어...반품·재고 떠넘기기 심각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

백화점들이 특약매입거래로 입점(납품)업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내 백화점 7개사의 최근 4년 특약매입거래 비중을 분석한 결과 2011년 71.7%에서 2012년 70.2%, 2013년 70.6%, 2014년 72.6%로 평균 71.3%를 유지하고 있다.

특약매입 거래란 대규모 유통업자가 입점(납품)업자로부터 반품 조건으로 상품을 외상 매입해 판매하는 거래 방식이다. 상품대금은 판매 수수료를 공제한 후 지급한다. 이 과정에서 백화점이 입점(납품)거래업체들에 외상매입 상품에 대한 반품 책임과 재고 부담을 떠넘긴다는 지적이 많다. 판촉·인테리어 등 각종 비용 떠넘기기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백화점 특약매입이 문제로 지적됐지만 특약매입 및 임대을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백화점 전체 매출액 중에서 2014년 기준 특약매입 비중은 72.6%, 임대을 20.1%, 직매입 7.3%였다. 백화점 매장 10곳 중 7곳은 외상으로 물건을 팔고 있는 셈이다.

백화점 업계는 특약매입거래나 직매입거래 방식 등의 선택은 상품군 별 특성에 따라 정한다는 입장이다. 반품 가능성이 커 재고 리스크가 있는 상품을 특약매입거래 형태로 운영하는 게 관행이라는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통업체의 동반성장지수를 평가할 때 특약매입 대신 중소기업과의 직매입 비중을 늘리는 업체에 가산점을 주고 있다. 직매입 거래는 백화점이 직접 상품을 구매해서 판매하고 재고까지 책임지는 방식이다. 미국 백화점의 경우 직매입 거래 방식이 70~80%에 이른다.

김영환 의원은 “지난해 국감에서 롯데그룹 증인은 백화점 특약매입을 줄여나가겠다고 했으나, 결국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백화점들이 직접 국내외 상품과 브랜드를 발굴하고 개발에 나선다면, 직매입 거래로 차별화가 가능하고 수익성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