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2년 차 아파트에 사는 세입자들의 전세 재계약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가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724만7052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2년간의 전세가격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입주 2년 차(2013년 입주) 아파트의 경우 평균 35.7%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채당 평균 재계약 비용으로 환산하면 7382만원에 이른다.
이에 비해 2013년 이전 입주한 기존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같은 기간 24.9% 올랐고, 재계약 시 평균 상승 비용은 5424만원이었다.
입주 2년 차 단지의 전세가격 상승률이 기존 아파트에 비해 10%포인트가량 높고 재계약 비용은 2000만원 정도 더 비싸다.
이처럼 새 아파트 전세금이 더 많이 오르는 것은 입주 당시 전세 매물이 일시에 늘어나면서 낮게 형성됐던 전세가격이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새 아파트가 기존 아파트에 비해 주거환경이 우수한 만큼, 2년 후 재계약 시점에서 전세가격이 튀어오르는 용수철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지난 2008년에 대규모 재건축 단지 입주가 몰리면서 역(逆)전세난마저 빚었던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전세가격이 2년 후 두 배 가까이 급등했던 것이 대표적 사례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2년 후 재계약 시점에서는 한꺼번에 오른 전세 보증금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 계약을 연장하기 위해서 좀 더 철저한 자금 계획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