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조난자 위치 발신용 주파수 분배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조난자 위치 발신용 주파수는 해상 조난사고 발생 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발송해 조난자를 신속하게 구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앞서 국민안전처(해경)는 지난 8월 해상 작전요원 및 함정 승조원의 신속한 구조 활동을 위해 해군에서 사용 중인 조난자 위치 발신용 주파수 배정을 요청한 바 있다.
미래부는 주파수 배정을 요청한 해경뿐만 아니라 민간까지 사용자를 확대해 주파수를 이용케 할 계획이다. 또 해군·해경 함정과 민간 선박에 조난자 위치 발신 설비를 연동해 설치·운영할 예정이다.
조난자 위치 발신 시스템은 선박 탑승자가 바다에 빠졌을 경우 휴대하고 있는 송신기를 통해 조난 위치 신호를 주변 선박에 알리는 것이다. 신호를 받은 선박은 신속·정확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송신기는 구명조끼 주머니에 넣거나 목걸이 또는 고리 형태로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송신기 작동 방식은 송신기 안에 있는 물 감지 센서 자동 작동에 따른 자동 모드와 조난자가 에스오에스(SOS) 버튼을 눌러 작동하는 수동 모드가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해상 조난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 내에 신속한 조난자 구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여객선·어선 등 8만여 척의 국내 선박 종사원 및 탑승자의 인명 보호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는 국민 의견 수렴을 거친 후 10월 말까지 주파수 분배 고시를 개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