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셋값이 천정 부지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이를 악용한 투자 행태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최근 전셋값 급등을 악용한 이른바 무피투자와 전세깡패가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무피 투자는 피 같은 내 돈을 들이지 않고 아파트를 매입하는 것을 뜻하고 전세깡패는 전세를 끼고 여러 아파트를 사들이는 것을 이르는 속어다.
이는 최근 전세값이 매매가 대비 80~90% 수준까지 치솟는 곳이 나올 정도로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이들은 전세값과 매매가 차이가 적은 아파트를 선별해 여러 채를 사들인 뒤엔 전세 품귀를 악용해 보증금을 대폭 올려 내놓고 시세차익을 받고 되파는 것을 일삼는다.
김 의원은 이 과정에서 부동산 중개업자와 짜고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세력이 있다며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김 의원 측이 전세가율 85%가 넘는 서울시 강서구의 한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2012년 단 한 건의 매매도 없던 한 아파트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무려 37건의 매매가 이뤄졌다.
특히 37가구 가운데 실제 거주용은 고작 2가구이고 나머지 35가구는 투자 목적으로 전세를 끼고 산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원 의원은 "중개업자나 브로커들이 매매를 성사시키기 위해 전셋값을 최대한 끌어올리다 보니 기존에 세 들어 살던 사람들은 재계약을 포기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게 되는 등 전세난이 더 심화되고 있다”며 정부의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유일호 국토부 장관은 "보고를 받지 못했는데 상당히 문제가 있다"면서 "면밀히 모니터링해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