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302명이 낸 상속액은 총 9조2060억원 달해
드라마 ‘상속자들’을 연상케 하는 상속 재산 상위 1% 계층은 평균 305억원을 물려받았고, 이 가운데 89억원을 세금으로 낸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2014년 상속재산 가액 100분위 가운데 1분위(상위 1%)인 302명의 상속액 합계는 9조2060억원이다.
이들을 제외한 2만9983명의 상속액 합계는 45조7480억원이다. 상위 1%가 부모 등으로부터 물려받은 돈이 나머지 99%가 부모 등으로부터 물려받은 돈의 20.1%에 해당하는 셈이다.
상위 1% 상속자들의 1인당 평균 상속액은 304억8000만원이다. 전체 상속자들의 평균 상속액은 17억8000만원이다. 과세미달자(99∼100분위)를 제외하고 상속세를 가장 적게 낸 98분위 계층의 평균 상속액은 9000만원이다.
상위 1%는 전체 평균의 약 17배, 최하위 계층의 339배에 달하는 재산을 상속한 것이다.
2010년 이후 상속세를 내는 규모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2010년 4547명이 9조1191억원을 물려받아 1조2217억원을 상속세로 냈는데 지난해는 7542명이 13조4075억원을 물려받아 1조7453억원을 상속세로 냈다.
지난 5년간 1인당 300억원 넘는 거액을 물려받은 상위 1% 계층은 상속세로 1인당 88억8000만원을 냈다. 전체 상속자의 평균 상속세는 1인당 2억50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