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택정책심의위, 10일 이주시기 조정 논의

사진-뉴스1

# 건립 23년 된 서울 강남구 개포동 대청아파트  전용면적 81.67㎡(구 26평)는 7월 말 전세가 4억 원에 거래됐다. 약 40여일 지난 9월 초 현재 전세 매물은 5억 원에 나와있다. 전세값이 약 한 달 사이에 1억 원 뛰었다. 비율로 25%나 올랐다. 같은 시기 서울 전세가 상승률이 평균 5% 안팎인 것에 비하면 엄청나다. 이곳 매물 찾기는 전세난을 넘어 전세지옥 수준이다.

개포동, 일원동 아파트 전세값이 요동치고 있다. 재건축 이주수요 때문이다. 이 일대는 오는 2016년 말까지 총 1만 3000가구가 멸실로 인해 이주하게 된다. 자녀가 근처 학교를 등하교하는 이주자들이 인근에 재건축 계획이 없거나 사업 진척이 요원한 아파트로 몰리면서 전세가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인근에 위치한 일원동 현대아파트(465세대)는 지난달 중순부터 이주를 시작했다. 중동고, 중산고 등 인근 고3 수험생 가정은 수학능력시험만 보고 나가겠다며 탄원서를 제출했지만 조합 측으로부터 거절당했다. 이들은 10월 15일까지 이사를 마쳐야 한다.

개포주공3단지와 개포시영아파트도 조만간 사업시행인가를 받고 올해 안에 이주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멸실가구만 시영 1920세대, 3단지 1160세대로 총 3000세대가 넘는다. 내년 상반기에는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한 개포주공4단지 2840세대가 이주를 계획하고 있다.

최근 현대건설과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이 매입한 개포 8단지 컨소시엄도 입주자에게 내년 말까지 이주할 것을 통보했다. 개포동에서 가장 덩치 큰 개포주공1단지 5040세대도 내년 말 이주를 목표로 잡고 있다.  개포동·일원동에서만 올해 말까지 3000세대, 내년 말까지 1만 세대가 이주하는 것이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이 일대에서만 1만 3000 가구가 멸실되면서 여기 사는 이들이 임시거처를 찾다보니 전세가 금보다 귀하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재건축을 미룰 수도 없는 실정이다. 개포주공은 노후로 외벽이 심하게 훼손된 것은 물론 녹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어 거주자들의 안전이 우려된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서울시는 10일 주택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이주시기를 조정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위원회는 총 15명의 시 내부위원, 시의원, 기타 부동산 전문가 위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과반수 참석, 과반수 의결로 결정한다. 조례상 1년 이내로 이주시기를 위원들이 조정할 수 있다. 서울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공급가구와 멸실가구 수를 분석해 토론을 거쳐서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