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삼성전자, LG전자 가전제품과 연결된다. SK텔레콤은 올해 말까지 스마트홈 서비스를 양사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연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홈은 SK텔레콤이 출시한 가정 내 사물인터넷 서비스다.
이번 발표는 SK텔레콤이 삼성전자, LG전자와 여러 달 협의한 결과다. SK텔레콤은 4월 삼성전자와 사물인터넷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6월부터는 양사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올해까지 연동하기로 했다.
LG전자는 8월부터 협의를 시작했다. SK텔레콤과 LG전자는 이번 IFA 2015에서 스마트 가전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스마트싱큐’ 기술을 통해 LG전자와 스마트 가전 기술을 공동개발한다. 스마트싱큐는 LG전자가 개발한 부착형 센서다.
SK텔레콤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제품을 출시한다. 최초 출시 제품은 세탁기, 에어컨, 로봇 청소기 등 주요 가전제품이 될 전망이다. SK텔레콤과 가전 업체가 주요 제품군에 대한 협력을 먼저 논의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이번 협의에 대해 자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확장한 계기라고 평했다. 지금까지 SK텔레콤은 아파트 냉난방을 조절하는 홈네트워크 사업자 YPP, 가정에 정수기 등을 빌려주는 렌탈가전 3사와 사물인터넷 협약을 체결했다. 이제 그 플렛폼을 대형 가전 업계 투톱 제품에 연계했다.
이동통신 경쟁사들도 사물인터넷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동시에 대형가전업계와 협의도 경쟁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3일 LG전자 스마트홈 플랫폼과 자사 홈IoT서비스를 연동한다고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삼성전자와 실무협의도 진행 중이다.
KT는 LG전자가 생산하는 IPTV 일체형 PC를 출시했다. 그러면서 연내에 사물인터넷과 제품을 연결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 LG전자 제품이 같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것은 최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자사가 경쟁사에 비해 이 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다는 뜻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타사에서 발표한 내용은 이제 사물인터넷 협력을 시작한다거나 실무적인 협의를 진행하는 수준”이라면서 “우리는 이미 양해각서 체결을 마친 상태에서 개발에 들어갔기 때문에 차별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협력을 통해 가전업체별로 분리돼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통신사로 통합돼 소비자 입장에선 사용이 편리해진다고 밝혔다.
조영훈 SK텔레콤 상무는 “대중적인 스마트홈 시장을 열어가기 위해 세계적인 가전사들과 협력할 방안을 찾아왔다”면서 "삼성, LG전자와의 협업을 계기로 국내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이 업그레이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