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욱 대표 “한국경제 먹여 살릴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

CJ그룹 문화사업 20주년 세미나에서 발표하는 이채욱 CJ그룹 대표.

CJ그룹이 문화사업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계획을 밝혔다.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해 2020년 문화사업 매출 15.6조원으로 글로벌 TOP 10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CJ그룹은 지난 2일 서울 중구 필동 CJ인재원에서 연 ‘미디어 세미나’에서 2020년 문화사업 비전과 글로벌 전략을 발표했다.

이채욱 CJ 대표는 "CJ의 문화사업 분야 매출을 2020년까지 15.6 조원으로 끌어올려 글로벌 TOP 10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문화산업이 한국경제를 먹여 살릴 차세대 핵심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CJ가 중추적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CJ그룹은 해외 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2020년까지 CJ CGV 스크린을 12개국에 1만 여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CJ CGV는 현재 한국,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6개 국가에 걸쳐 진출했다. 해외 스크린을 성공적으로 확보하면 현재 연간 1억3000만 명인 CGV 관람객이 2020년 7억 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사 측은 콘텐츠 개발과 IP(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전략도 밝혔다. 영화사업 부문의 경우 중국 동남아 현지 합작 영화 제작 및 배급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지 합작 영화 편수를 점차 늘려 2020년에는 글로벌 사업 매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4개국에서 현지 합작으로 제작 배급하는 작품은 연간 8편 정도다. 이는 영화사업 전체 매출액의 15% 가량을 차지한다. 궁극적으로 국내 매출 비중보다 해외 매출 비중이 많아지는 구조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원소스 멀티유즈(OSMU) ' 도 확대한다. 영화 <수상한 그녀>가 중국과 베트남에서 리메이크 됐다. 창작 뮤지컬 <김종욱 찾기>가 중국과 일본에서 인기를 끈 뒤 영화와 책으로 발간되는 등 성공 사례의 뒤를 잇겠다는 것이다

회사 측은 이런 식으로 2020년까지 CJ E&M의 글로벌 매출 비중을 현재(8.5%)보다 크게 높여 43%로 키울 계획이다.

CJ 그룹 문화사업은 1995년 드림웍스 3억 달러(약3,500억원) 투자에서 비롯됐다. 이후 20년간 문화의 산업화와 글로벌화를 추구해왔다.

CJ 관계자는 “식품회사였던 제일제당이 현재의 글로벌 문화창조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중요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