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용도 지정 사업성 떨어져...삼성·현대차 불참
옛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부지가 입찰희망자가 나서지 않아 결국 유찰 됐다. 주용도 지정으로 사업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동 한전부지에 이어 삼성과 현대차의 공공부지 매입 2차전에 될 것으로 기대했던 공개 매각이 다소 싱겁게 끝났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서울의료원 재산에 대한 일반 입찰 실시 결과 유찰됐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서울시는 서울의료원 재산 공개매각 공고를 냈다. 12일부터 24일까지 전자 입차 방식을 통해 매각을 진행했다.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부지의 매각 재산은 토지 2필지(3만1543.9㎡) 및 건물 9개 동(연면적 2만7743.63㎡) 등이다. 2개 감정평가기관의 감정평가 결과에 따른 예정가격은 약 9725억 원이었다.
해당 부지는 지하철 2호선 삼성역, 9호선 도시철도역과 한강탄천수변이 인접한 강남 알짜배기 땅이다. KTX, GTX 등 광역철도 노선으로 거론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민간 사업자에게 매각 공고를 낼 때만 하더라도 서울의 미래 먹거리 산업 핵심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주용도를 한정한 것이 유찰 원인으로 지적된다. 서울시는 서울의료원 부지의 주용도를 업무, 관광숙박, 문화·집회 시설로 지정했다. 전체 공간 중 50% 이상을 이 용도로 채워야 한다. 오피스텔을 포함한 주거시설은 건립이 불가능하다.
용도가 한정되면서 이 부지의 활용도가 낮아져 민간 사업자들이 나서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한 부동산중개업자는 “부지 절반을 떼어 두고 나머지 부지만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민간 사업자 입장에서는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력한 인수후보로 전망되던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은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경우 지난해 한전부지를 10조5500억원에 낙찰하면서 부담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생명이 단독 응찰했지만 입찰제시가의 10%에 해당하는 입찰보증금을 내지 않아 무효처리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내부 검토를 거쳐 공개 매각을 재공고할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