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위안화 평가절하와 美 금리인상이 더큰 위기
북한의 포격도발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시장은 큰 동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정부는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와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가장 큰 불안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2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북한 포격도발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없었다”고 말했다.
주 차관은 “NDF(차액결제선물환)시장에서 북한 도발 전후 원/달러 환율이 일시적으로 상승했으나 이후 안정세를 되찾았고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전일대비 소폭 상승했다”면서도 “이는 여타 신흥국도 유사한 모습으로 북한 도발보다 중국 불안 등 글로벌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과거 경험에 기인할 때 북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에 그치고 그 크기도 제한적이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와 미국의 금리인상 등으로 인해 시장불안성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일각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시장불안가능성이 제기되고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러한 시장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기둔화등 시장 개발 리스크에 대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별 대비책을 마련하고 점검 대책반을 구성하겠다”며 “오늘부터 관계 기관 합동점검대책반을 구성하고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