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지역 뿌리기술지원센터 현황

정부가 올해 뿌리기술지원센터를 추가 구축하기로 했다. 새로 추가된 지역은 강원 원주, 대구, 전남 순창 등 3개 지역이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신규 3개 지역 뿌리기술지원센터 구축을 담당할 사업자를 선정한다고 10일 밝혔다. 산업부는 해당 사업신청서를 8월11일부터 9월 9일까지 접수한다.

뿌리기술지원센터는 지역별로 특화된 뿌리산업에 맞춰 기업들에게 센터와 시제품 제작 장비를 지원한다. 기업들은 센터와 장비를 함께 사용한다. 센터는 또 기업의 기술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전문인력도 투입한다.

산업부는 경기 시흥, 전북 김제, 경남 진주, 광주, 경북 고령, 부산, 울산 등 7개 지역에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3개 지역을 포함하면 전국 10개 센터가 운영된다.

뿌리기업들은 제품 개발에 필수이지만 높은 가격이 부담스러웠던 장비를 센터를 통해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개 센터는 지역 뿌리기업의 특성에 맞춰 전문화한다. 원주는 자동차부품과 의료기기를 주력산업으로 삼아 금형·소성가공을 전문화한다. 대구는 지역 산업인 기계·금속·자동차부품에 맞춰 소성가공, 순천은 지역 산업인 금속소재·조선에 맞춰 소성가공·표면처리 분야를 특화한다.  

산업부는 4년간 장비 구입비로 국비 300억원을 3개 센터에 지원한다. 대신 센터 건축비는 지방지치단체나 민간이 부담한다.

한편 산업부는 올해 초 센터 의견수렴, 현장실태 조사를 거쳐 '뿌리기술지원센터 효율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에 따라 산업부는 전국 뿌리기술지원센터를 지역산업과 기술 수요에 맞춰 특성화·전문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사이버 뿌리기술지원센터도 올해 하반기 운영한다. 사이버 센터는 장비와 전문가 정보 검색, 온라인 기술애로 상담, 장비사용 예약 등을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뿌리기업 지원사례를 조사한 결과 생산성이 개선되고 불량률이 줄었다. 신제품 개발도 이어져 매출도 늘었다"며 "지역설명회 개최, 홍보 책자 제작·배포 등을 통해  많은 뿌리기업들이 이용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