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비서울 청약 격차 ‘역대 최대’···서울 136대 1 vs 비서울 4대 1
수도권 내에서도 명암 뚜렷해
규제 부담 커지자 실수요 ‘안전지’로 쏠림 심화

서울 아파트 전경. /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경.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10·15 대책 이후 서울과 비서울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진 가운데 수도권 안에서도 인기 단지와 비인기 단지의 경쟁률 양상이 엇갈리면서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습이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 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136.02대 1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163.84대 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비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19대 1에 그쳤다. 이는 2013년(1.81대 1) 이후 1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비서울의 32.4배에 달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서울과 비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 격차는 3배 이하였으나 ▲2020년 3.7배 ▲2021년 9.4배 ▲2022년 1.3배 ▲2023년 7.1배에 이어 지난해 13.9배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서울과 비서울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수도권 내에서도 이런 양상이 조금씩 가시화되고 있다.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중랑구 상봉동 ‘상봉센트럴아이파크’는 지난 17일 115가구 대상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616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 5.35대 1을 기록했다. 해당 단지는 지난 9월 30일 실시한 1순위 청약에서 113가구 모집에 총 1328명이 지원하며 평균 11.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두 자릿수 경쟁률을 나타내며 흥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10·15 대책 시행 이후 일부 입주 예정자들이 규제 강화에 부담을 느껴 계약을 포기하면서 미계약분이 발생해 무순위 청약이 진행됐다. 무순위 청약의 경우 청약통장 보유 여부나 가입 기간, 예치금 등 조건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진입 장벽이 낮음에도 1순위 당시보다 경쟁률이 눈에 띄게 낮아진 것이다.

이는 10·15 대책 이전에 분양한 단지임에도 분양권을 전매할 경우 매수자가 실거주 의무에 묶이는 등 제약이 발생한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잔금 시점의 시세에 따라 대출 한도가 줄어들 수 있다는 불확실성도 계약을 주저하게 만든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수도권 내 인기 입지는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래미안 트리니원’과 경기 성남 ‘더샵 분당티에르원’은 규제지역 내에서 분양했지만 모두 1순위 청약 결과 평균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기며 세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규제 강화로 실수요가 더 안전한 핵심지로 쏠리면서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는 양상이다. 규제지역 전반에서 대출 제한과 실거주 의무 등이 강화되자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낮고 시세 방어력이 높은 지역에 몰리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에 따라 입지·학군·교통 등 조건이 뛰어난 단지는 규제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집중돼 경쟁률이 치솟는 반면, 중간 입지나 외곽 단지들은 미계약분이 발생해 무순위 청약으로 이어지는 등 수요의 쏠림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10·15 대책 이후 전체 분양시장이 위축된 것은 사실이지만 조건이 좋은 핵심지는 규제에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며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담이 커질수록 수요자들은 안전한 단지를 선호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기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청약 경쟁률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