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형 금리 지표 은행채 급등
대출 규제 강화로 인상 폭 확대
연말까지 금리 오름세 지속 전망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은행 대출금리가 약 2년 만에 다시 6%대로 올라섰다. 최근 시장 금리 상승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14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은행채 5년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연 3.930~6.060% 수준이다.

4대 은행에서 혼합형 금리는 6%대를 기록한 건 지난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지난 8월 말에는 연 3.460~5.546%였다. 두 달 반만에 금리 상단이 0.514%포인트, 하단은 0.470%p 높아졌다.

이는 같은 기간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 상승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채는 혼합형 금리의 주요 지표이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1년물 기준 신용대출 금리도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올랐다.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338% 오른 영향으로 상하단이 각각 0.260%~0.270%포인트 상승했다. 

신규 코픽스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상단이 0.263%포인트 올랐다. 지표금리인 코픽스는 불과 0.01%포인트 올랐으나, 부동산·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인상 폭을 더 크게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집값·환율 불안으로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출 금리 오름세와 가계대출 한도 축소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방향 전환 여부까지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있다”고 밝힌바 있다.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주기·혼합형 금리를 지표 금리인 5년물 금융채 상승 폭만큼 추가 인상할 예정이다. 5년물 금융채 상승폭 0.09%포인트를 반영한 이 상품 금리는 4.11~5.51%이다. 

시장금리를 주 또는 일 단위로 반영하는 다른 은행들도 시장금리 상승분을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속속 반영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