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시오 AI 비서,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
동남아 등 글로벌 진출도 추진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통화 중 사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익시오 AI 비서’를 베타테스트를 거쳐 내년 상반기 정식 출시한다. 이는 LG유플러스와 구글 간 첫 협력 성과물로, LG유플러스의 통신 기술력과 서비스 운영 역량에 구글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등이 결합됐다. 회사는 동남아 시장을 시작으로 익시오의 글로벌 진출에도 나선다.
13일 LG유플러스는 서울 종로구 센트로폴리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에이전트 서비스 익시오 AI 비서를 공개했다.
이재원 LG유플러스 컨슈머부문장 부사장은 “익시오는 지난 1년간 고객에게 안심을 제공하며 AI의 실질적 가치를 증명해왔다”며 “이제는 고객의 시간을 아끼고 삶을 편하게 지원하는 맞춤형 AI로 더 빠르게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중 대화 맥락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는 기능이다. 익시오를 사용하는 고객이 통화 중 “헤이, 익시”라고 부르거나 호출 버튼을 누르면 AI가 통화에 참여해 정보를 찾고 결과를 공유한다. 친구와 통화로 주말 계획을 세우는 중 “헤이 익시, 이번 주말 날씨가 어떻게 돼”라고 질문하면 AI가 정보를 검색하고 결과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통화 연결 상태에서 AI 호출 ▲필요한 정보 검색 및 핵심 요약 ▲음성과 텍스트로 동시에 제공 ▲상대방에게도 정보 즉시 공유 등 과정을 거쳐 실제 대화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AI를 고도화했다. AI가 제안한 정보는 통화 상대방도 함께 들을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안심하고 익시오 AI 비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보호도 강화했다. 익시오 AI 비서는 온디바이스 기반 음성 인식(STT) 기술을 적용해 호출 전 통화 내용은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 호출 후 발화 내용만 AI 검색에 활용한다.
LG유플러스는 올해말까지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를 운영하며 발생한 피드백을 적용해 익시오 AI 비서의 기능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상반기 모든 익시오 이용 고객에게 AI 비서 기능을 오픈한다.
익시오 AI 비서는 LG유플러스와 구글 간 첫 협력 성과물이다. LG유프러스의 통신 기술력에 구글의 최신 LLM인 ‘제미나이 2.5 플래시 라이브’, 구글 검색 기반 그라운딩 기능이 결합됐다. 이를 통해 익시오는 통화 내용을 요약하고 해야할 일을 정리하는 것은 물론, 통화 상대의 대화 방식과 감정 흐름을 분석해 관계 개선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구글과의 번들 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부사장은 “이달 중 구글과의 번들 요금제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통신 요금제와 엮인 번들 요금제, 그리고 단독 요금제를 모두 준비 중”이라며 “단순 번들이 아니라 구글 드라이브와 우리 서비스가 연계되는 방향까지 고민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또 LG유플러스는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통화 중 언급된 일정·장소·예약 등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액셔너블 AI’로 기능을 확장할 계획이다. AI가 이해한 대화를 실제 행동으로 연결해, 고객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편리하게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익시오 2.0의 핵심 기능인 AI 비서를 중심으로 고객 편의에 집중한 ‘맞춤 지능’ 전략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익시오는 지난해 11월 출시 이후 통화 녹음·요약, 보이는 전화, AI 전화 대신 받기 등 고객의 실제 불편을 해결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약 1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현재 별도 수익화 계획은 없는 상황이다.
이 부사장은 “현재 고객에게 별도의 과금을 적용할 계획은 없다. 다만 고객 편의성이나 생산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과금 모델을 만들고 수익화할까 고민하고 있다”며 “우선은 고객이 편의성과 가치를 체감하도록 만드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익시오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에 대해 최윤호 LG유플러스 AI 에이전트추진그룹장 상무는 “동남아 통신사들과 협의 중이며, 구체적인 결과가 나오면 별도로 공유할 예정”이라며 “이번 모델은 단발성 구축 사업이 아닌 SaaS 모델로 기획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