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인프라 부족에 대한 불안감 여전
언제든 충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확신 심어줘야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이제 도로 위에서 전기차를 보는 일은 낯설지 않다. 특히 테슬라는 웬만한 내연기관 인기모델을 능가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

올해 테슬라 모델Y는 3분기까지 3만7000여 대가 팔리며 수입차 전체 1위를 차지했고, 완성차 브랜드를 포함해도 상위권에 올랐다.

기아 EV3 역시 2만 대 가까이 판매되며 전기차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전기차 모델이 쏟아지면서 올해 신차 시장에서 전기차 점유율은 13%, 즉 10대 중 1대꼴로 전기차가 팔리고 있다.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실제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차를 바꾸려는 이들 대부분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를 놓고 고민하다 결국 하이브리드를 선택한다.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충전 불안감이다.

내연기관차는 언제든 주유소에 들러 기름을 넣을 수 있지만, 전기차는 충전소 위치와 대기 시간, 배터리 잔량을 항상 신경 써야 한다.

전기차 경험이 없는 소비자에게 이런 ‘충전 스트레스’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

가격 부담도 여전하다.

정부가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줄이고 고가 차량 지원을 축소하면서 소비자들의 체감 혜택은 크게 줄었다.

“보조금이 없다면 굳이 전기차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반면 하이브리드는 충전 걱정이 없고 연비도 좋아 실용적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충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체감도는 낮다.

최근 아파트 단지 내 충전기가 늘고는 있지만, 주차 대수 대비 턱없이 부족해 “전기차를 사도 편하게 충전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충전기 운영사마다 회원 가입이나 별도 카드가 필요한 점 등 편의성도 떨어진다.

이제 전기차 확산의 열쇠는 단순히 ‘충전기 숫자’가 아니다. 운전자가 언제, 어디서든 안심하고 충전할 수 있다는 신뢰를 만드는 것이다.

충전소 위치보다 중요한 건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이다. 보조금 정책 역시 단기 지원보다 장기적인 인프라 신뢰 확보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전기차 시대는 이미 시작됐지만, 소비자의 마음은 아직 출발선에 서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소비자의 신뢰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전 인프라가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다.

언제든 사용할 수 있다는 확신, 그 체감이 쌓일 때 비로소 전기차는 진정한 대중차가 된다.

소비자의 일상 속 불안이 사라질 때, 비로소 전기차는 ‘미래의 차’가 아닌 ‘우리의 차’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