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월 연체된 대출 18.3조로 급증···역대 최고치
사상 최대 5.6조 충당금과 4.6조 상매각에도 역부족

/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이자·수수료로 올해 3분기까지 15조원이 넘는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부실 대출이 급속하게 불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발표한 실적 자료 등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4대 금융지주의 요주의여신 합은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금융지주 출범으로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요주의여신은 연체 기간이 1~3개월인 채권으로 당장은 채권 회수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지만 앞으로 신용 상태가 악화될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나 관리가 필요한 대출을 의미한다

요주의여신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여신(NPL, 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9조342억원)보다는 360억원 감소했지만 지난해 3분기 말(7조8651억원)보다 18%나 늘었다. 전체 여신(대출) 중 NPL 비율은 단순평균·0.72%로 최고 기록인 올해 1분기 말(0.74%)이나 2분기 말(0.74%)과 큰 차이가 없었다.

4대 금융지주들은 건전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총 5조6296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다. 이는 2019년 이후 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도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 이하 부실 채권의 상각이나 매각에 나섰다. 4대 은행은 올해 1∼3분기에 걸쳐 4조6461억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 상·매각했다. 이 역시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8년 이래 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단순평균 고정이하여신 커버리지 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여신)은 4대 금융지주 기준 123.1%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말(141.6%)보다 18.5%p나 급락한 수치다.

이 같은 현상은 수년간 저성장·고금리 환경이 이어지면서 한계에 이른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차주(대출자)들이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서는 최근 경기 회복마저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로 이뤄지면서 당분간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지표가 계속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그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