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평균 거래대금 16조6530억···2021년 6월 이후 최대치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며 ‘사천피(코스피 4000)’ 돌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일평균 거래대금이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거래대금의 3분의 1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1~24일)까지 코스피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6조653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6월(16조9480억원) 이후 4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11조5540억원) 대비로는 5조990억원(44%) 급증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이 전월 대비 13.9% 증가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코스피 거래대금 증가세가 두드러진 셈이다.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지난 1월 9조6180억원에서 2월 12조2190억원으로 늘었다가, 4월 7조9110억원까지 감소했다. 이후 6월 15조2000억원으로 급증했지만, 지난달에는 11조5000억원대로 다시 내려앉았다. 그러다 이달 들어 16조원대를 회복했다.
미국 기술주 상승 여파와 한미 무역협상 기대감 등에 힘입어 코스피가 이달 들어 15% 급등하며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자 투자 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달 코스피 거래대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로 쏠렸다. 인공지능(AI) 수요 증가와 메모리 업황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에 매수세가 집중된 영향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삼성전자우의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은 4조5990억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코스피 거래대금의 28%를 차지했다. 지난 24일에는 이들 3개 종목의 시가총액 합계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증시 ‘손바뀜’도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코스피 일평균 회전율은 0.54%로 전월(0.42%) 대비 29% 늘었다. 회전율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자 간 거래가 빈번하게 일어났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