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택시, 네이버 제휴맺고 이용자수 2만명 치솟아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국내 택시 호출 플랫폼 시장을 수년째 독점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수수료 인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현행 수수료 부과 정책이 불공정하다며 이를 바로 잡을 관련 법 개정까지 추진 중이다. 수수료 정책이 바뀔 경우 카카오모빌리티로선 수익성 측면에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국내 시장 만년 2위인 글로벌 택시 호출 플랫폼 우버택시는 구독형 서비스를 출시한 데 이어 네이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총공세에 나섰다.
15일 IT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수수료 문제와 관련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의 비판을 받았다.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카카오택시는 시장 점유율 78.2%를 차지하는 시장지배적 사업자다. 카카오가 자사 앱을 쓰지 않아도 수수료를 떼고 있다”며 “이로 인해 택시기사들은 배회영업이나 다른 앱 호출에도 수수료를 이중으로 내야한다. 이는 잘못된 것”이라고 질타했다.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해 류긍선 대표가 배회영업 가맹 수수료 개선 방안 설명하고 수수료를 미부과한다고 답해서 1년 간 기다렸는데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박 의원은 운송가맹점(법에 따라 가맹 계약을 맺은 개인택시 운송 사업자)이 플랫폼 가맹 사업자가 확보한 운송 플랫폼을 통해 여객과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수료 등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개정안(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이날 해당 법안과 관련해선 국토교통부 장관도 카카오모빌리티의 수수료 체계가 부당하단 점에 공감을 표하며 법안 처리에 힘을 실어줄 것을 시사했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수수료 체계가 부당하다는 판단에 공감한다”며 “법안 심사 과정에서 국토부 입장을 명확히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이처럼 정부와 정치권에서 카카오모빌리티의 수수료 인하 압박 움직임이 거세지는 가운데, 경쟁사 우버는 국내 대표 플랫폼인 네이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대규모 마케팅에 나서는 등 시장 영향력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의 광고형 상품이 지난해말 네이버와 협력을 기반으로 이용자 지표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냈단 점에서 우버와 네이버의 동맹 역시 적지 않은 시장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우버택시 일이용자수(DAU·안드로이드OS+iOS 기준)의 평균은 6만8932명으로 집계됐다. 직전 일주일(9월 24~30일)의 평균치가 6만248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000명 이상 늘어난 것이다. 네이버와 파트너십 체결 직후인 지난 1일과 2일엔 DAU가 8만5000명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지난 1일부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회원에게 ‘우버 원’ 12개월 무료 이용 혜택을 제공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의 성과로 풀이된다. 우버 원 가입자는 우버 택시 이용 요금의 최대 10%를 ‘우버 원 크레딧’으로 적립 받아 다음 승차에 사용할 수 있으며, 평점 높은 기사 우선 배차 등 전용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송진우 우버택시 코리아 총괄(GM)은 신규 서비스 출시 관련 “우버택시는 기사와 승객 모두에게 더 나은 이동 경험과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지향한다”며 “한국 시장 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