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5대 은행 중소기업 대출 잔액 671조876억원
3개월 만에 7조원 이상 급증···상반기 증가액의 3배 넘어
정부 ‘생산적 금융’ 기조·가계대출 규제 강화 영향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세···건전성 관리 부담 가중

5대 은행 중소기업 대출 잔액 추이/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5대 은행 중소기업 대출 잔액 추이.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하반기 들어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이 7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석달 만에 상반기 증가액을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에 은행들이 발맞춘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빠르게 불어나면서 건전성 관리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71조876억원으로 전월(668조9622억원) 대비 2조1254억원 증가했다. 지난 6월 말과 비교하면 한 분기 만에 7조8억원 늘어난 규모다.

올해 상반기 5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이 1조8578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하반기 들어 잔액 증가세가 크게 가팔라졌다.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증가액만 상반기 수준의 3배를 훌쩍 넘어선 것이다.

5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하반기 들어 급증한 배경에는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 강화 영향이 자리하고 있다. 정부는 자금이 부동산 담보대출 등 비생산적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중소기업·혁신기업 등 생산적 영역으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은행권에 적극적인 자금 공급을 주문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의 6·27 대책과 9·7 후속대책으로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은행들이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점도 중소기업 대출 잔액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가 생산적 금융을 강조하면서 은행들이 이에 발맞춰 중소기업 자금 공급을 확대한 결과 대출 잔액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대출 규제 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은행 입장에서는 기업대출, 특히 중소기업 지원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다만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하반기 잔액 확대가 건전성 지표 관리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4대 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은 평균 0.50%로 전년 동기(0.39%) 대비 0.11%포인트 올랐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우리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이 0.59%로 4대 은행 중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하나은행이 0.54%, 신한은행 0.46%, 국민은행 0.42% 순이었다.

은행권 전체로도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국내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은 0.82%로 전월(0.74%) 말 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0.67%)과 비교하면 1년 새 0.1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증가하면서 연체율도 동반 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며 “대기업보다 은행 대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경기 변동에 민감한 중소기업 특성상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부실 위험이 커져 연체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잔액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