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들어서면서 부행장 선임 2달 반 미뤄져
부당대출 사건 후 역할 커진 준법감시인 공석 해결

서울 을지로 IBK기업은행 본점.  / 사진=IBK기업은행
서울 을지로 IBK기업은행 본점.  / 사진=IBK기업은행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IBK기업은행이 지난 7월 하반기 인사에서 결정하지 못한 부행장 인사를 약 두 달 반만에 단행했다. 세 명의 신규 부행장이 선임됐다. 특히 대규모 부당대출 사건 이후 더욱 중요성이 커졌던 준법감시인 공석 사태가 이어지는 것을 해소하게 됐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최근 부행장 인사를 단행했다. 기업투자금융(CIB)그룹장 부행장 자리에 김상희 여신심사부 본부장, 정보통신(IT)그룹장 부행장에 권오삼 경기남부지역본부장, 준법감시인에 박필희 데이터본부장이 각각 선임됐다. 

통상 1월과 7월 중순, 각각 부행장을 포함해 본부장, 부장급부터 일반 직원들까지 모든 직급의 인사를 한 번에 발표하는 ‘원샷 인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2년 인사청탁과 파벌 방지를 위해 도입된 기업은행 특유의 인사 방식이다.

그런데 올해는 전 정부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정권교체가 이뤄지면서 이 같은 인사 관행을 지키지 못했다. 국책은행인 만큼 부행장 선임에 있어 정부의 정책 기조를 따라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정부조직법으로 인해 기업은행의 최대주주인 기획재정부도 변화가 있을 수 있는 점도 문제였다. 결국 기재부는 이번 법 개정으로 세제와 예산 기능이 분리된다.   

무엇보다 기업은행은 이번 인사로 준법감시인의 공석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막았다. 이장섭 전 준법감시인은 지난 7월 14일로  임기가 종료됐다. 

기업은행 일부 임직원들은 지난 2017년부터 7년 간 부동산 담보대출 과정에서 담보가치를 부풀려 한도보다 더 많은 금액을 대출받는 불법을 저질렀다. 부당대출 규모는 총 882억원에 달했다. 이에 기업은행은 IBK쇄신위원회를 구성하고 준법감시인을 내부위원으로 선임했다. 준법감시인의 빈자리가 이어지면 그만큼 위원회 운영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한편 기업은행은 이번 부행장 인사와 관련, 곧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