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토크콘서트 참석
“극렬한 경쟁 내 책임”
“세대·젠더 갈등 원인”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청년 세대를 피해계층으로 규정하며 기성세대에 비해 기회 총량이 부족한 부분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젠더갈등 등 부작용을 언급하며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 콘서트’에 참석해 “기회의 총량이 부족해 기성세대보다 청년세대들이 매우 구조적으로 어려워졌다”며 “악순환을 이제 전환해야 한다. 함께 더 많은 기회가 있는 새로운 세상으로 가자”고 말했다.
과거 자신이 살아온 청년시절보다 현재 청년들이 훨씬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 대통령은 “내일이 오늘보다 나을 것이냐, 내 자식 세대는 나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믿어지느냐의 차이”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대학을 졸업할 때는 웬만한 회사에 취직해 평생 정년이 보장되는 시절이었다”며 “지금은 완전히 반대가 됐다. 직장을 구하기도 어렵고, 안정성도 없고 미래가 그렇게 희망적이지도 않다. 그러다 보니 결혼도 연애도 다 포기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렇게 된 데 여러분은 아무런 잘못이 없다. 우리 기성세대들의 잘못이다. 제가 책임이 제일 크고 미안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며 “이런 점을 예측하고 충분히 필요한 대책을 만들어야 했다. 이제는 새롭게 길을 열어가야 한다”고 위로했다.
세대, 젠더, 지역간 갈등의 기저엔 극한경쟁이 있단 점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에는 행복하게 경쟁했지만, 요즘은 너무 극렬화돼서 경쟁이 아니라 전쟁을 하게 됐다. 가까워야 할 청년 세대들끼리, 특히 남녀가 편을 지어 다투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지역 갈등, 세대 간 갈등, 남녀 간 갈등이 심하다”며 “이 모든 문제의 원천은 기회의 부족이고, 기회의 부족은 저성장으로부터 온 것이다. 인구가 줄어드니 성장 잠재력과 현실 성장률이 떨어지고, 기회의 총량이 줄어드니까 더 좌절해서 결혼을 안 하고 악순환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나라가 망한 상황에서도 우리는 국민, 백성들의 힘으로 극복해 오지 않았나. 극복할 뿐만 아니라 세계에 자랑할 만한 나라가 돼가고 있다”며 “기회를 만들고 리셋하고, 새로운 각오로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고 힘을 합쳐서 통합해서 함께 나가면 새로운 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대화를 정말 많이 하면 좋겠다”며 “전에는 실금을 그었는데 요즘은 실선을 그을 뿐만 아니라 아예 벽을 쌓아서 접촉이 잘 안된다. 노동자와 기업인들이, 청년과 기성세대들이, 특히 청년 남성과 청년 여성들이 대화를 많이 하면 좋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