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아랩 인수에 900억원 투입
실적 기여 미미···신사업 전환 속도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랩지노믹스가 지난해 총 4곳의 미국  실험실표준인증 연구실(클리아랩, CLEA Lab)을 인수했지만,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무리한 클리아랩 인수로 재무 압박감만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랩지노믹스는 국내 진단 사업과 신사업을 강화해 실적 개선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랩지노믹스가 인수했던 미국 클리아랩의 기대만큼 성과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출구 전략을 모색하는 상황에 놓였다. 엔데믹 전환 이후 공격적 투자의 일환으로 추진된 해외 진단 사업 확장이 정체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실적 개선 부담이 커지고 있다.

랩지노믹스 실적 추이./ 표=김은실 디자이너
랩지노믹스 실적 추이./ 표=김은실 디자이너

랩지노믹스는 2002년 유전체 기반 분자 진단을 주사업으로 설립돼 2014년 코스닥에 상장한 바이오 진단 전문기업이다. PCR, MDx 면역항원,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착상 전 유전자 검사(PGS) 등 분자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기점으로 급속도로 성장했으나 2022년부터는 진단키트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총매출도 감소했다. 랩지노믹스의 연결 기준 매출은 2021년 2024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1448억원, 지난해 859억원으로 줄었다. 올해 2분기까지 442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 1045억원에 달했던 영업이익은 2022년 662억원으로 감소했다. 이후 2023년 적자전환해 69억원의 손실을 냈다. 지난해에는 185억원으로 적자 폭이 늘어났다. 

랩지노믹스는 엔데믹 이후 악화된 실적을 회복하기 위해 미국 클리아랩 인수를 추진했다. 2023년 7월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클리아랩 ‘QDx’를 인수한데 이어 지난해 10월 미국 새크라멘토, 오로라. 버클리에 각각 클리아랩을 운영하는 ‘IMD’를 인수했다. QDx와 IMD 인수에는 각각 768억원, 130억원이 투입돼 4곳의 클리아랩 확보에 약 900억원이 쓰였다. 

당시 랩지노믹스는 클리아랩을 기반으로 미국 현지에 자체 개발 진단검사(LDT) 제품 공급을 본격화하며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 클리아랩 인수합병 컨설팅 비용과 같은 일회성 비용이 늘면서 적자가 커졌고, 동시에 영업활동 현금흐름도 악화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2분기 회사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171억원으로 전년 동기(-79억원) 대비 116.46% 악화됐다. 보유 현금도 줄었다. 2022년 1370억원에 달했던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지난해 말 908억원, 올해 2분기까지는 729억원으로 감소했다.  

랩지노믹스는 지난해 10월 IMD 인수 당시 연말부터 실적 시너지에 따른 이익 성장을 기대했다. 그러나 올해까지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자, 클리아랩 인수가 계륵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랩지노믹스는 영업 네트워크 강화와 고부가가치 진단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국내 진단 사업은 AI진단, 의료기기 등으로 분야를 넓히기 위한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김병기 전 아주약품 제품전략실장을 마케팅 본부장으로 영입했는데, 국내 제약 시장에서 진단·수탁 사업을 전개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B2G(기업과 정부 간 거래) 분야에서는 마약진단 등으로 새로운 수익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식약처 인증을 확보한 마약진단키트 6종을 통해 정부기관 마약진단키트 입찰에 참여를 늘릴 전망이다. 

의료AI 분야에서는 AI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맞춤형 암 질환 분석 플랫폼 ‘메셈블(Mesemble)’ 특허출원을 2023년 8월 완료한 바 있다. 또 특정 질병에 대한 취약성, 유전질환 보유 및 발생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질병 예측 의료 AI 얼리큐(EarlyQ) 서비스를 출시했다. 

랩지노믹스 관계자는 “진단 사업을 강화하면서 적자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신사업도 추진해 수익 구조를 다각화하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진단 사업을 영위하면서 쌓은 데이터를 활용해 조기 진단 분야 연구를 지속하고 있고, 제약사와의 협업도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랩지노믹스 마약진단키트 6종./ 사진=랩지노믹스
랩지노믹스 마약진단키트 6종./ 사진=랩지노믹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