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건물 준공 및 입주인데 기업 유치 작업은 미미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표방하다 '아파트촌' 된 송도국제도시처럼 될까 우려
"용산 경쟁력, 개발 보다 글로벌 기업 유치가 더 중요···유인책 논의돼야”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 불리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용산구청이 서울시에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종합 계획을 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서면서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용산구청은 최근 서울시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변경안과 실시계획안을 제출하고 본격 사업 추진에 나섰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2월 국제업무지구 세부 개발계획을 발표한 지 1년6개월여 만이다. 시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의 연내 착공을 목표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한국철도공사가 과거 정비창으로 사용한 용산역 뒤편 49만5000㎡ 용산정비창 부지를 복합 개발하는 사업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지난 2010년 개발계획이 고시됐지만 보상 문제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다가 2013년 구역지정에서 해제된 바 있다. 시는 10여년 만에 다시 시도하는 만큼 더 추진계획을 촘촘히 짰다.
서울시는 싱가포르와 홍콩을 잇는 아태 비즈니스 거점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사업지는 20개 구획으로 나눴다. 특히 사업자를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무지원 등 3개 존(Zone)으로 구분하되, 국제업무지구의 실질적 성장을 견인할 국제업무지구는 기존 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로 인한 교통혼잡 방지 차원에서 3조원 규모 광역교통개선대책도 세웠다. 이에 따라 2조1000억원에 달하는 지하간선도로 설치, 광역환승센터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처럼 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서울시의 인허가에 따라 순탄하게 돌아가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말 기반시설 착공, 2028년 건축물 착공을 거쳐 2030년이면 준공과 함께 1호 기업이 입주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입주까지 남은 기간이 5년 남짓한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 유치 업무 작업은 시작도 안 된 만큼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앞서 국제업무지구를 표방했다가 아파트촌에 그친 사례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게 인천 송도국제신도시다.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신도시 역시 2000년대 초반 동북아의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의 비전을 품고 개발이 시작됐지만 국제도시라기에는 글로벌 기업 유치가 미미한 수준이다. 김기흥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송도 국제업무지구는 지난 23년간 개발기간 동안 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시설은 93%가 완료된 반면, 핵심 기능인 업무·상업 개발률은 절반에 그쳤다.
특히 송도에 입주한 기업을 보면 포스코이앤씨,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포스코인터내셔널, 코오롱, 패션그룹 형지, 효성 ITX 등 국내 기업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글로벌 기업은 CISCO, IBM(연세대 협업) 등 일부에 그치고 있다. 이에 김 의원은 송도신도시가 당초 비전에서 크게 어긋나며 국제 비즈니스 허브가 아닌 아파트 단지에 머물렀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서울시의 싱크탱크인 서울연구원도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기업의 지역본부가 용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서울연구원은 그동안 도시계획 분야는 수월하게 마련되고 있지만 글로벌 기업의 지역본부 유치와 관련해선 서울시의 재량이 아닐 뿐더러 대내외 경제 환경이나 중앙정부 기조에 따라 정책 추진 환경이 크게 달라져 쉽게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기업이 임대료 보조, 노동 규제 완화, 조세 감면 등을 받기 위해선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야 하는데, 지정권자가 산업부인 만큼 서울시와 중앙정부 간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용산국제업무지구가 단순한 도시정비사업을 넘어 도시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가 사실상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기업 유치를 위해서는 세금 감면이나 보조금 지급 등의 유인책도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