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카드사 상반기 당기순이익 1조1152억원···전년比 18.1%↓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에 신용판매 수익성 악화
연체율 안정화 지연으로 대손비용 부담 이어져

주요 카드사 상반기 순익 추이.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주요 카드사 상반기 순익 추이.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주요 카드사들의 상반기 실적발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 카드사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일제히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본업인 신용판매 부문의 수익성이 악화된 데다 대손비용 부담도 지속되면서 실적 부진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2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이날까지 실적을 발표한 주요 카드사 6곳(신한·삼성·KB국민·현대·하나·우리카드)의 상반기 당기순이익 합계는 총 1조11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조3622억원)보다 18.1% 줄어든 규모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현대카드를 제외한 5개 카드사 모두 순익이 일제히 감소했다. 삼성카드의 경우 올해 상반기 순익이 3356억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신한카드를 제치고 카드사 중 최고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년 동기(3628억원)보다 7.5% 감소했다.

신한카드는 같은 기간 3793억원에서 2466억원으로 순익이 35.0% 줄어들며 6개 카드사 중 순익 감소 폭이 가장 컸다.

KB국민카드의 순익도 지난해 상반기 2557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1813억원으로 29.1% 줄었으며 하나카드와 우리카드도 각각 5.6%, 9.5%의 순익 감소세를 나타냈다.

반면 현대카드는 1638억원에서 1655억원으로 1년 새 1.0% 늘어나며 유일하게 순익이 증가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상품 경쟁력 강화에 따른 신용판매 취급액 및 회원 수 증가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등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카드사들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악화된 배경에는 카드사들의 본업인 신용판매 수익성이 악화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사들은 지난 2월 중순부터 중소·영세가맹점에 적용되는 우대수수료율을 최대 0.1%포인트 인하했다.

카드수수료는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 전인 2007년부터 인하되기 시작해 올해 2월까지 모두 15차례에 걸쳐 하향 조정됐다. 그 결과 2007년 당시 4.5%에 달했던 가맹점 카드 수수료율은 현재 우대수수료율 기준 0.4~1.45%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는 영세·중소 신용카드 가맹점은 전체 가맹점의 95.8%에 달한다. 사실상 대부분 가맹점에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되는 셈이다.

계속된 수수료율 인하 영향으로 그간 증가세를 이어온 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 1분기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1조8437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139억원) 대비 8.4% 줄었다.

아울러 연체율 상승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도 실적 부진의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상반기 기준 6개 카드사의 연체율은 평균 1.48%로 지난해 같은 기간(1.39%)보다 0.09%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 상승으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지면서 대손비용도 함께 증가했다. 신한카드의 대손비용은 지난해 상반기 4357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097억원으로 17.0% 늘었고 삼성카드 역시 같은 기간 3161억원에서 3585억원으로 13.4% 증가했다. 국민카드의 경우 증가율은 0.1%에 그쳤으나 올해 상반기 4188억원으로 여타 카드사들에 비해 대손비용 지출 규모가 컸다. 하나카드도 1년 새 1771억원에서 1790억원으로 늘어나며 순익 하락으로 이어졌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인해 카드사의 주요 수익원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인 수익성이 악화됐다”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 등 비우호적인 대외 여건이 이어지면서 연체율 안정화가 지연됐고, 이로 인해 대손비용이 늘어난 점 역시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