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 연속 상승···OECD 2위 자리도 유지
정치 이슈 해소·정부 경기부양책 기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하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가 3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로 한 달 전 비교해 0.11%포인트 상승했다. 2021년 11월(101.09)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22년 7월(99.82)부터 한국의 이 지수는 20개월 동안 100을 밑돌다 작년 2월부터 100을 넘어섰다. 이후 완만히 상승했지만 지난해 8∼11월 4개월 동안 하락했고, 다시 12월부터 7달 연속 상승하고 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경기 전환점을 빨리 포착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다. 6∼9개월 후 경기 흐름을 미리 가늠하는 데 활용된다.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고, 100보다 낮으면 장기 추세를 밑돌 것으로 전망 가능하다. 

상승세를 탄 결과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수준은 OECD가 공개한 12개 회원국 중 영국(101.16)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올해 3월부터 2위 자리를 유지했다. 주요 20개국(G20) 평균 100.51과 비교하더라도 더 높은 수준이다. 

한국이 다른 OECD 국가들 대비 경기 확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란 의미다. 실제로 최근 지표를 보면 경기 반등의 조짐이 보인다.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93.8)과 5월(101.8), 6월(108.7) 세달 연속 크게 개선됐다. 더불어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31조8000억원 규모의 소비쿠폰이 풀리면 소비 회복은 더욱 탄력이 붙을 확률이 높다. 

수출도 호조를 기록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을 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올해 2·3·4·6월 수출이 한 해 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특히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정치 불안으로 치솟았던 환율도 최근 안정세다. 지난 4월 한 때 1500원선에 근접했던 원·달러 환율은 최근 1300원선을 유지하고 있다. 주식시장도 호황이다. 코스피는 지난 11일 장중 3216.69까지 오르며 3년 10개월 만에 3200선을 넘어섰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5월 말 평균 0.8%에서 6월 말 0.9%로 0.1%포인트 올랐다.

다만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여전하기에 경기 개선을 장담할 순 없는 상황이다. 미 정부는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내달 1일부터 부과한다고 예고했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율 인하 협상에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면 경제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주력 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도 계속되며 생산 증가세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