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특란 소비자 가격 4년 만에 7000원 넘어서
홈플러스·이마트·롯데마트 등 추가 가격 인상 방지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대형마트들이 계란값 인상을 막는 데 뜻을 모았다. 계란 납품가 폭등에도 회사 이윤을 줄이면서 소비자 가격을 8000원 미만으로 유지한단 방침이다.
22일 유통업계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판(30개) 기준 7026원에 달했다. 지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000원을 넘어섰다.
최근 계란 가격 상승세의 원인으론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과 같은 전염병, 알을 낳는 산란계들의 노화 등이 지목된다. 정부는 최근 대한산란계협회 등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담합 등 가격 조정이 있었는지 여부 등도 조사하는 중이다.
홈플러스는 특란 한 판 값을 2년 전부터 유지해온 7990원으로 동결해 8000원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납품가가 작년보다 20% 올랐지만, 이윤을 줄여 향후에도 현재 판매 가격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또한 납품가가 10% 이상 올랐지만, 소비자 가격이 더 인상되지 않도록 누르고 있다. 이마트의 특란 한 판 가격은 지난해 6월 7580원에서 현재 7980원으로 400원(5.3%) 올랐다. 이외에도 롯데마트의 대란 한 판 가격은 지난해 6월 7490원에서 현재 7990원으로 500원(6.7%) 인상된 상태다.
대형마트들은 일자별 계란 수급량이 작년의 80~9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판매용 물량이 부족하진 않지만,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일반 판매용 계란 상품에 대해선 현재까지 구매를 제한할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휴가철 계란 소비가 줄고 산란계 생산 기간을 평균 84주령에서 87주령으로 늘리면, 계란 가격이 점차 안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마트들도 여름철 계란 소비 둔화와 병아리 입식 확대에 따른 물량 증가로 일시적 시세 하락을 기대하는 상황이다.
다만, 오는 9월부터 산란계 마리당 사육 면적 최소 기준이 0.05㎡에서 0.075㎡로 50% 확대되므로, 시세가 더 오를 수도 있단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오는 8월까지 노계를 정리하고 더 많은 병아리를 입식하려는 농가가 많아 한동안 산란 축소가 불가피하단 관측이다. 아울러, 평소에도 기온이 오르면 산란율은 더 떨어진다.
대형마트들은 계란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신규 협력사를 적극적으로 발굴한단 방침이다. 아울러, 30구 판란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등급란과 동물복지란 등 다양한 상품을 함께 운영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공급 리스크(위험)를 분산할 계획이다.
정부 또한 계란 물가 잡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계란 가격이 오르면 추가적인 가공식품·외식비 물가까지 영향이 전이될 수 있어, 정부에서도 가격 관리에 크게 신경 쓰는 품목 중 하나다.
기획재정부는 앞서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통해 계란 가공품 할당관세를 1만톤(t) 규모로 확대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바 있다. 또 산란계 농가의 케이지 수선 및 교체 비용 등을 지원하고, 농협 자체 할인과 계란자조금을 통한 대형마트로의 계란 납품 단가를 최대 한 판당 1000원씩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2% 내외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그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등의 가격상승률도 여전히 높아 생계비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며, “에너지·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계란의 경우 과도한 산지 가격 인상에 대해 공정위의 담합조사를 추진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