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후폭풍···19개 품목, 6개월만 5% 인상↑
탄핵정국 혼란기, 식품업계 제품 가격 인상 러쉬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6개월간 초콜릿, 커피, 빵, 라면,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들의 가격이 올랐다. 기업들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면서 대략 52개 품목의 물가 지수가 상승했다. 

8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대비 가공식품 73개 품목 가운데 물가 지수가 상승한 품목은 53개로 전체의 71% 비중을 나타냈다. 지난달을 기준으로 조사된 수치로, 계엄 사태 직전과 비교한 결과다. 특히 6개월 사이 5% 이상 가격이 뛴 품목은 19개에 달했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의 전달 대비 상승률은 4.1%을 기록했다. 계엄 사태 이전인 지난해 11월 1.3%와 비교해 약 세 배에 달했다.  

가격이 가장 많이 높아진 품목은 오징어채로 31.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초콜릿과 커피도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각각 지난달 기준 6개월 전보다 10.4%, 8.2% 상승했다. 양념 소스와 식초, 젓갈은 7% 이상 올랐다. 빵과 잼, 햄·베이컨은 각각 6%가량 상승했다. 고추장과 생수도 비슷한 폭으로 올랐다.

이 밖에도 아이스크림과 유산균, 냉동식품, 어묵, 라면은 각각 5% 안팎의 상승률을 보였다. 케이크, 단무지, 스낵과자, 편의점 도시락, 즉석식품, 혼합조미료 등은 3∼4% 올랐다. 김치와 맥주는 2% 이상 올랐다.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은 연초부터 본격화된 것으로 알려진다. 식품 물가는 몇 년간 누적된 상승에 더해 최근 6개월간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이 집중되면서 더욱 높아졌다. 계엄 사태 전까진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에 협조 차원에서 가파른 가격 인상은 자제해왔으나, 국정 공백기를 틈타 식품 가격을 무더기로 올렸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지난 달 기준 최근 6개월간 가격을 올린 식품·외식업체는 60곳이 넘었다. 3년 전인 2022년 5월 윤 정부 출범 당시와 비교해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70개가 올랐다. 특히 두 자릿수 상승한 가공식품은 3분의 2인 50개에 달한다.

대상, 한국야쿠르트,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오뚜기, 빙그레, 농심 등 모두 올해 식품 가격 인상률이 높았던 기업 중으로 꼽힌다. 대상은 지난 설을 앞두고 드레싱 제품 가격을 평균 23% 올렸다. 후추는 19% 인상했다. 한국야쿠르트는 지난달 야쿠르트 라이트 가격을 250원으로 14% 높였다. 

특히 동서식품은 대선을 나흘 남겨두고 맥심 모카골드 가격을 또 올렸다. 6개월간 두 차례의 가격 인상이다. 지난해 11월 계엄 사태 전과 비교해 맥심 커피믹스 가격은 대략 20% 뛰었다. 올해 스타벅스와 투썸플레이스 등의 평균 인상률이 5% 이하인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일각에서는 동서식품이 커피 업체의 가격 인상 행진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롯데웰푸드도 과자와 아이스크림 수십 개를 8개월 만에 두 차례 인상했다. 오뚜기는 지난 4월 대표 품목인 진라면 가격을 10% 올리고, 라면 제품 16개의 가격을 높였다. 지난 2월에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컵밥 덮밥 7종 가격을 600원씩 올렸다. 이어 3월에는 대형마트 후추와 식초 가격을 인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