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MG손보 정리 위한 가교보험사 설립 추진···노조 반대로 난항
노조, 총파업 예고···가교보험사 설립까지 상당 시간 차질 빚을 수도
매각 작업도 노조 반발로 무산···속타는 125만 계약자들

지난달 29일 MG손해보험 노조가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앞에서 열린 총파업 선포 결의대회에서 일부영업정지를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9일 MG손해보험 노조가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앞에서 열린 총파업 선포 결의대회에서 일부영업정지를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MG손해보험 사태 정리를 위한 금융당국의 가교보험사 설립이 노조 반대로 또 다시 난관에 부딪혔다. 특히 이번에는 노조가 총파업까지 예고하고 있는 만큼, 가교보험사 설립에 상당 시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MG손해보험의 매각 작업도 노조 반발로 무산된 데 이어 최근 가교보험사 설립마저 노조 반대에 난항을 겪으면서 계약자들의 속만 타들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MG손해보험 노조는 지난달 29일 금융위원회 앞에서 '영업 일부정지 규탄 및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총파업은 금융당국이 지난달 14일 MG손보 영업 일부정지를 의결하고 가교보험사 설립 절차를 밟는 것에 대한 대응이다. 가교보험사는 예금보험공사가 부실 보험사를 정리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임시 회사로, 예금보험공사가 최근 보험업법상 최소자본금인 300억원을 출자했다.

금융당국은 가교보험사를 통해 기존 보험계약 조건은 변경 없이 유지하고 관련 전산 시스템 준비를 완료한 뒤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5개 대형 손보사로 계약을 이전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구조조정과 설계사 재배치 등을 병행하게 되고설계사와 본사 직원들의 정리해고가 나타날 수도 있다.

MG손해보험 노조는 "금융위원회가 관리·감독권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MG손해보험 500여 명 임직원의 일자리와 그 가족들의 생존권을 송두리째 빼앗으려 한다"며 "일자리와 생존권이 벼랑 끝에 내몰린 MG손해보험 직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단 한 가지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총력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MG손해보험은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고 사실상 청산 절차를 밟으면서 구성원의 고용 안정성은 불투명해진 상태다.

앞서 MG손해보험은 부실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뒤 잇달아 매각에 실패했으나 지난해 메리츠화재가 인수 의사를 나타내며 우선협상자가 됐다. 이후 협의를 이어갔지만 MG손해보험 노조는 고용 승계와 법적 절차 등의 미흡을 이유로 반발했고, 결국 메리츠화재는 인수를 위한 실사 단계를 밟지 못하면서 지난 3월 인수를 포기했다. 이에 예금보험공사와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임시 보험사이자 기존 계약을 관리하는 가교보험사 설립 계약이전 절차를 밟고 있다.

다만 노조가 이번에는 총파업까지 거론하며 강력 반발하고 있어 가교보험사 설립까지 상당 시간 소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MG손해보험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 전산시스템 구축 등에 필요한 자료 제출을 거부하기 때문에 가교보험사 설립이 사실상 지연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사고 접수, 보험금 청구 등 기본 보험 업무도 중단된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부당한 업무 협조 요청이나 지시에 대해서는 이를 거부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계약이전 절차는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며 "총파업을 실행에 옮기게 되면 전산시스템 구축과 실사에 필요한 자료 제공 거부 등으로 가교보험사 설립이 늦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가교보험사 설립까지 무산된다면 MG손해보험 계약자들의 피해가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MG손해보험 보험계약자 수는 개인·법인을 포함해 총 124만4155명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양쪽이 입장을 좁히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대통령 선거가 끝난 이후에나 협상이 구체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가교보험사 설립마저 무산된다면 어떤 식으로든 계약자들의 피해는 불가피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