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 이정훈 전 빗썸 의장 대법원 무죄 확정
현장검사 잘 마무리한 뒤 하반기 상장 목표 IPO 주력
거래소 특성상 거래량 비례해 수익성 좌우···가상자산 제도화 필수
수익구조 다변화도 필요···신사업 확장 등 새 수익원 발굴해야

빗썸은 IPO를 위해 삼성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빗썸은 IPO를 위해 삼성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빗썸이 최근 대주주 사법리스크 해소와 함께 KB국민은행으로 제휴 은행을 변경한 것을 계기로 숙원 사업이던 기업공개(IPO)를 연내 추진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거래소 특성상 거래량에 비례해 수익성이 좌우되는 만큼 가상자산 시장 제도권화를 통한 수익구조 안정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늘까지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빗썸에 대한 현장검사를 마무리한다. 현장검사에서는 해외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와 가상자산 이전 거래, 특정금융정보법상(특금법) 고객 확인 의무 등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빗썸은 이번 현장검사를 잘 마무리하고 최근 대주주 리스크 해소와 함께 KB국민은행으로 실명계좌 제휴 은행을 변경한 것을 새 동력으로 삼아 IPO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대법원은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의 사기 혐의에 대해 무죄를 확정했다. 이 전 의장은 2018년 10월 김병건 BK메디컬그룹 회장에게 빗썸 인수 및 공동경영을 제안하면서 이른바 '빗썸코인'(BXA)을 상장시키겠다고 약속하고 계약금 명목으로 1억 달러(당시 약 1120억원)를 가로챈 혐의를 받아 왔다.

이 전 의장은 지주사인 빗썸홀딩스의 지분 65.78%를 직간접적으로 보유한 빗썸의 실소유주로 알려져 있다. 빗썸홀딩스는 빗썸의 지분 73.56%를 가지고 있다. 그 동안 IPO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대주주 사법리스크를 해소한 것이다. 

아울러 빗썸은 법인계좌 허용을 앞두고 지난 24일부터 실명계좌 제휴 은행을 KB국민은행으로 변경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부터 일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 및 재무목적 매매 실명계좌 개설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법인 및 기관투자자들은 자금 규모가 개인 투자자보다 크기 때문에 법인투자자 유치는 수익성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빗썸은 IPO를 위해 삼성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빗썸이 상장을 하게 된다면 국내 가상화폐거래소 1호 상장사가 된다.

관건은 수익구조 안정화다. 가상자산 활성화에 발맞춰 가상자산 사업에 대한 규제 등 제도화가 필요한데 아직은 미비하다는 시각이 많다. 물론 과거보다는 더 제도적 틀을 갖추고는 있지만 명확한 시스템 체계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빗썸은 지난 2020년에도 코스닥 시장 상장에 도전했지만 가상자산에 대한 명확한 규제와 회계기준 등이 없어 중도 포기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가상화폐 시장 환경이 점진적으로 제도화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제도적 지원이 IPO 성공의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가상화폐거래소 수익은 대부분 가상화폐 거래 수수료에서 나온다. 빗썸은 지난 2021년 일론머스크 지지를 받아 폭발적으로 성장한 도지코인의 상승세 등으로 인해 거래량이 증가하며 매출 1조99억원, 영업이익 7821억원을 기록했다. 그 다음해인 2022년에는 루나 대폭락 사태로 인해 가상화폐 시장이 얼어붙으며 매출 3201억원, 영업이익 1600억원을 시현했다. 2023년에는 매출 1358억원, 영업손실 149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이처럼 거래량에 따라 수익성이 좌우되기 때문에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거래소 중심의 국내 가상화폐 시장을 고려해 가상화폐거래소의 투명한 상장과 공시제도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수익구조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 세계 유일하게 나스닥에 상장된 가상화폐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수익구조 다변화를 위해 기관투자자 대상 서비스 확대,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법적 규제 및 제도 미비 등으로 인해 진출이 제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가상화폐거래소들이 NFT 등 신사업에 도전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빗썸이 IPO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익구조 안정화는 물론 지속가능한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