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업계 “도매대가 개선 없인 실효성 한계”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이 지난달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알뜰폰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이 지난달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알뜰폰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이동통신 시장에서 ‘메기’ 역할을 해온 알뜰폰이 4년여 만에 전월 대비 이용자수가 줄며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다. 도매대가 협상 지연과 통신3사의 저가요금제 출시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이 가운데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달부터 ‘1만원대 5G 20GB 요금제’를 선보이며 반등을 노린다. 도매대가가 개선되지 않는 한 반등이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2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알뜰폰 사업자들은 지난달말부터 1만원대 5G 요금제를 순차 출시하고 있다. 큰사람커넥트의 알뜰폰 브랜드 이야기모바일은 지난달말 '5G 함께이야기해S' 요금제를 출시했다. 요금제는 데이터 10GB, 15GB, 20GB 등으로 구성했다. 이 중 20GB 상품은 월 1만8700원에 5G 데이터 20GB, 음성 200분, 문자 100건을 제공한다.

프로모션 상품(프리티, 5G더든든한500분20G)을 제외하고 1만원대에 데이터 20GB를 제공하는 건 이 요금제가 유일하다.

또 다른 알뜰폰 사업자인 에이모바일도 월 1만8700원과 월 1만3200원의 5G 요금제가 있지만, 데이터 제공량은 각각 15GB와 10GB에 불과하다.

이야기모바일 외 알뜰폰 사업자들도 다음달 중 1만원대에 5G 20GB를 제공하는 알뜰폰 요금제를 선보일 계획이다.

알뜰폰 사업자들이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게 된 것은 정부의 알뜰폰 지원 정책 덕분이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통신3사에 데이터를 대량으로 구매할 경우에 한해 알뜰폰 요금제의 ‘원가’에 해당하는 도매대가를 기존 메가바이트(MB)당 1.29원에서 최대 52% 낮춘 0.62원까지 내리기로 한 바 있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5G 신규 요금제 출시로 이용자수가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알뜰폰 가입 회선은 949만2407개로, 전월 대비 3만3151개(0.3%)가 줄었다. 알뜰폰 가입자가 전월보다 감소한 것은 2021년 10월 이후 약 39개월 만이다. 특히 5G 가입자수는 36만5582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는 5G 도매대가가 높은 탓에 알뜰폰 사업자들이 저렴한 5G 요금제를 내지 못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신규 요금제 출시를 앞두고 있지만, 신규 요금제 출시가 알뜰폰 사업자들의 5G 가입자 확대로 이어지긴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통신3사가 주로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데이터를 대량으로 구매해야만 높은 할인율이 적용되는 구조로 순이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다. 특히 통상 알뜰폰의 주력 요금제에 속도제한(QoS) 조건이 부과되는데, 신규 5G 요금제에도 이같은 제한들이 걸릴 수 있단 우려도 있다.

이에 5G 도매대가 자체가 개선돼야 다양한 요금제 출시가 가능해져 이용자 확보도 가능해질 것이란 설명이다. 도매대가는 음성, 데이터 등 항목별로 산정되는 종량제(RM) 방식과 LTE, 5G 등 요금제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RS)으로 나뉘는데, 그간 정부 정책은 RM에만 집중됐다.

실제 알뜰폰업계가 요구해 온 주력 요금제 RS 대가는 수년째 제자리다. 월 3만2890원에 데이터 300MB, 3만9600원에 데이터 1.2GB를 제공하는 LTE 요금제 ‘밴드 데이터’는 2017년 결정된 수익 배분율 40%를 유지 중이다. 6만5890원에 데이터 11GB를 제공하는 요금제도 2019년 50%로 정해진 뒤 추가 인하는 없었다.

알뜰폰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알뜰폰 주력 요금제에 3Mbps나 1Mbps의 속도제한이 걸려있는데, 새로운 5G 요금제 역시 이같은 조건들이 붙을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이용자 확보에 걸림돌이 생긴다”며 “알뜰폰 요금제 다양화가 필요한데, RS 방식 인하가 없으면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