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시장 침체기에도 안정성, 수익성 차원에서 공동주택 건립 선호

용도변경을 통해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는 사례 / 표=정승아 디자이너
용도변경을 통해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는 사례 / 표=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일부 건설사들이 고액의 공공기여금을 감수하면서도 당초 개발계획과는 달리 노선을 틀어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 주택시장이 침체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여타 개발사업 대비 낫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은 경남 김해시 김해시청 앞 3만1000㎡ 부지에 공동주택 657세대 건설을 추진한다.

당초 해당부지는 데이터센터 건립이 추진됐다. HDC현산이 자사가 매입한 부지에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의 데이터센터와 연구개발센터를 지으면 NHN이 그 건물을 매입해 이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원자잿값 상승, 인건비 폭등으로 공사비는 급등했고 양사는 공사비 분담 갈등을 겪으며 2023년 말 사업 포기 의사를 밝혔다.

그로부터 1년 뒤인 지난해 12월 HDC현산은 해당부지에 아파트를 짓기 위해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신청하면서, 이 과정에서 김해시에 220억원 상당의 토지 및 공공시설물의 기여를 제안한 상태다. 김해시청 관계자는 “도시개발 사업에 대한 개발변경 행정절차를 밟고 있으며 도시계획위원회 등을 거치고 나면 올 상반기 내에 승인이 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용도변경 허가가 나면 이후 HDC현산은 아파트 개발을 수립하고 내년께 착공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게 시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가 HDC현산의 수정 제안을 사실상 받아들임에 따라 지역인재 채용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사업은 기업의 수익성 위주 공동주택 택지개발 수익사업이 됐다.

그런가 하면 부영주택도 지난 2015년 502억원에 매입한 제주 서귀포시 서호동 부지에 아파트를 짓는 것으로 최근 계획을 변경하고 관련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당초 1200호실에 달하는 관광숙박시설을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관련산업 포화로 인한 사업성 하락이 우려된다는 게 부영 측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부영주택은 지난해 11월 공공기여금 130억원을 내고 해당부지에 공동주택(아파트) 및 근린생활시설 등을 지을 수 있는 복합용지로 변경을 요청했다. 또한 기존 30m 이하 고도제한을 40m 이하로 완화하고, 건축한계선도 부지 동쪽 연결녹지변과 25m 간격을 3m까지 줄여줄 것도 요구했다. 용도변경이 완료되면 해당 부지에는 약 600여 세대의 공동주택 건립될 예정이다.

경남 김해시와 제주 서귀포시 모두 주택 가치는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첫째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김해시가 속해있는 경남 지역은 –0.05% 하락하며 전주 –0.04% 대비 하락폭을 키웠다. 서귀포시가 포함돼있는 제주도 주택시장 역시 침체돼있긴 마찬가지다. 가장 최근 하락율이 –0.06%인데, 이는 직전주 –0.03% 대비 내림세가 가팔라졌다.

이처럼 지방 주택시장이 침체돼있어 하향곡선을 그린다고 하더라도 건설사 입장에서는 사업의 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아파트 개발사업만 한 게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이 큰 수익이 나서라기보다 인허가 취소라는 최악의 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다”며 “지역 주택시장이 침체돼있긴 하지만 자체 사업장인 만큼 예정원가율 등을 컨트롤하기 쉬워 영업 수익성 방어가 그나마 용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해시청 관계자도 “부동산 경기야 왔다갔다 하는거고 2035 도시기본계획상 김해시는 주택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