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스터’와 MOU, 로봇핸드‧글러브 키트 개발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 내장된 ‘인간형 로봇핸드’

/사진=에이딘로보틱스
/사진=에이딘로보틱스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로봇용 센서 전문 기업 ‘에이딘로보틱스(AIDIN ROBOTICS)’가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핸드 사업 분야를 강화하는 모습이 관측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에이딘로보틱스는 최근 핸드 트래킹(hand tracking) 솔루션 전문기업 ‘퀘스터(QUESTER)’와 ‘휴머노이드 로봇핸드와 모방학습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에이딘로보틱스와 퀘스터는 이번 협약으로 휴머노이드 모방학습에 특화된 로봇핸드와 글러브 키트를 공동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에이딘로보틱스는 퀘스터의 기술을 로봇핸드 제품에 접목해 원격 제어와 조작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퀘스터는 이 과정에서 데이터 전달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에이딘로보틱스는 “(퀘스터와의 MOU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작업을 더 빠르게 배우고 일상생활에 도입되는 속도를 가속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지난 2019년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내 ‘로보틱스 이노베토리(Robotics Innovatory)’ 연구실에서 스핀오프 창업한 스타트업이다.

에이딘로보틱스의 핵심적인 기술 경쟁력은 자체 개발‧판매 중인 협동 로봇에 들어가는 6축 힘 토크 센서다.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가 내장돼 있는 ‘인간형 로봇핸드(AIDIN Robotic Hand)’의 경우 가반하중 15kg까지 지원 가능하고, 기존 그리퍼(Gripper)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파지동작을 물체의 무게, 강도 등의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수행이 가능하다.

또 로봇핸드, 4족보행 로봇, 센서를 활용해 자동화하는 솔루션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솔루션은 자동차, 조선, 제조 분야 등의 연마, 용접 작업 등을 자동화하는 솔루션, 무작위의 물체를 이송하는 물류용 로봇 피킹 솔루션 등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무엇보다 6축 힘‧토크 센서를 다섯 손가락에 모두 내장한 총 15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로봇핸드도 연구용으로 판매하며 업계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해당 제품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과 미국 빅테크 기업 연구소에 납품되어 상업적 성과를 낸 바 있다.

아울러 에이딘로보틱스가 개발한 6축 힘토크 센서를 비롯한 솔루션은 지난 2021년부터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유럽 국가와 미주 지역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지역까지 전세계 10개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사진=에이딘로보틱스
/사진=에이딘로보틱스

앞서 지난해 10월 산업통산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 주관한 ‘2024 로보월드’에서 에이딘로보틱스는 ‘스마트 6축 힘‧토크 센서 키트(Smart 6-axis F/T Sensor KIT)’ 제품을 처음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해당 제품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RB 라인과 뉴로메카 INDY 시리즈 협동로봇에 맞춰 나온 제품으로 로봇의 힘 측정부터 충돌감지, 정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 다양한 제조 공정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힘제어가 필요한 작업에 즉시 투입하여 높은 생산성과 작업 효율을 보여준다.

스마트 6축 힘‧토크 센서 키트에는 에이딘로보틱스가 확보하고 있는 프린지 이펙트(Fringe Effect) 기반 차세대 정전용량 측정방식 기술이 적용됐고, 협동로봇 브랜드별 플러그앤플레이(Plug&Play) 모드를 지원하고 티칭 펜던트와 손쉽게 연결이 가능해 사용자의 높은 편의를 확보했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 12억원을 달성했고, 올해 목표 매출액은 약 25억원 이상이다.

이번 MOU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핸드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더욱 확고히 다지겠다는 계획도 이와 같은 실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보인다.

이윤행 에이딘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퀘스터와의 협업은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자들에게 혁신적인 모방학습용 도구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핸드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더욱 확고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이딘로보틱스는 지난해 9월 한국투자파트너스, 포스코기술투자, CJ대한통운, 삼성넥스트, GS벤처스 등으로부터 150억원 규모의 Series-B 투자를 유치했고, 지난 2022년 45억원 규모의 DSC인베스트먼트, BNK벤처투자,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등으로부터 Series-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