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중도상환수수료 개편···13일 신규 대출부터 인하
부동산 및 동산 담보대출 금리 절반 수준으로 ‘뚝’
인터넷은행, 저금리 이점으로 대환대출 수요 몰릴 듯
가계대출 관리 기조 지속···적극적인 대출 취급 어렵다는 시각도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금융당국이 중도상환수수료 개편에 나서면서 은행권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이 인하됐다. 중도상환수수료가 낮아짐에 따라 대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중은행 대비 금리 이점이 있는 인터넷은행에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비롯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재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부터 실비용 내에서만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도록 하는 중도상환수수료 개편 방안을 시행했다. 중도상환수수료는 차주가 약정과 달리 만기가 도래하기 전 대출 원금과 이자를 모두 갚을 경우 은행에 지급해야 하는 일종의 위약금이다.
은행권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은 대폭 낮아졌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3일 이후 계약체결분에 대한 은행권의 가계 부문 부동산 및 동산 담보대출(고정금리)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은 평균 0.52%로 집계됐다. 지난해 해당 수수료율이 평균 1%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변동금리 신용대출 역시 수수료율이 0.83%에서 0.11%로 0.72%포인트 하락했다.
인하된 중도상환수수료율은 13일 이후부터 체결되는 신규 계약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금융사들은 대출금 중도상환 시 발생하는 실비용을 매년 재산정해 중도상환수수료율을 각 협회 홈페이지에 공시해나갈 예정이다.
중도상환수수료율이 떨어지면서 향후 가계대출의 대환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환대출 수요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시중은행 대비 금리 경쟁력이 높은 인터넷전문은행에 대출 수요가 쏠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지난해 초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가 시작된 당시에도 인터넷은행에 대환대출 수요가 몰린 바 있다. 인터넷은행들은 금리 이점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영업에 나섰고 당시 주담대 ‘오픈런’ 현상이 나타나는 등 잔액이 크게 증가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인터넷은행의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식, 만기 10년 이상) 평균금리는 케이뱅크가 3.97%, 카카오뱅크가 4.37%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평균금리가 4.48~4.63%에 분포해있는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도상환수수료율 개편 이후 계약된 신규 대출에 대해 수수료가 인하되는 만큼 당장 대환 움직임이 활발해지지는 않겠지만 향후 은행권의 금리 인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금리 경쟁이 활성화되면 시중은행 대비 금리 매력도가 높은 인터넷은행에 대환대출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올해 하반기가 되더라도 인터넷은행들이 대환대출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 개시 당시에는 비대면 편의성과 낮은 금리로 인터넷은행에 대환 수요가 많이 몰렸지만 이후 금융당국이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쏠림 현상을 지적하면서 인터넷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였다”며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작년 대환대환 인프라 개시 때처럼 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새해 들어 은행들의 가계대출 총량 한도가 재설정되면서 인터넷은행들도 걸어 잠근 대출 빗장을 열었지만 그럼에도 적극적으로 대출을 영업하는 분위기는 아니다”라며 “여전히 대출 잔액 증가가 부담스러운 상황이기 때문에 대환 수요가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은행들이 이를 다 흡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