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센터장 “GPU 확보 시기 당겨야”
민주당 “일자리감소·윤리 문제 등도 대비 필요”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자국 주도의 독립적인 역량, 이른바 ‘소버린 AI’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됐다. 우리나라도 AI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인프라와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가 요구된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글로벌 AI 3강을 위한 AI 진흥 태스크포스(TF)’ 간담회에서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에서 소버린 AI 확보는 국가 안보와 경제적 독립성의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국가안보 측면에서 AI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미국 주도의 AI 블록화가 진행될 수 있단 주장도 나왔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와 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국가를 3개 등급으로 나눠서 관리하기로 했다. 최상위인 우방국엔 한국을 비롯해 일본·대만·네덜란드·영국·독일·프랑스 등 18국이 포함됐다.
해당 국가는 AI 반도체와 초고성능 AI 모델을 추가적인 제한 없이 확보할 수 있지만, 중국·러시아 등 22국은 모든 AI 반도체와 폐쇄형 초고성능 AI 모델에 대한 접근이 사실상 차단된다. 그간 미국은 엔비디아·AMD 등 미국 기업이 개발한 AI 반도체를 중국 등 적성국에 수출하는 것을 금지해 왔는데, 초고성능 AI 모델 수출도 차단하려는 의도다.
하 센터장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AI 인프라뿐만 아니라 AI 모델도 규제 대상이 된다고 발표했다. 지금이야 일부 국가가 (수출 제한의) 대상이기는 국제 관계 변화에 있어서 동맹국 사이에도 티어를 나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런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에서 모든 국가가 소버린 AI에 관심을 가지고 경쟁력을 키우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하 센터장은 “미국,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비슷한 경쟁을 하고 있는데, 지금 이 순간 얼마나 많은 투자와 제도를 만들어 가느냐가 중요하다”며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단 점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개발을 위한 예산 집행을 확대해 'AI 3강'으로 발돋움하겠다며 비전을 제시했다. 구체적 과제로 GPU 등 핵심 자산을 신속하게 확보하고 AI 컴퓨팅 인프라, 우수 인력, 기술 개발에 예산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또 규제 정비, 세제 및 투자 인센티브 확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등 국제 협력 확대, AI·디지털 역량 교육 확대, 지역 주력 산업의 AI 융합 촉진 등을 예고했다.
이와 관련 하 센터장은 “과기정통부가 최근 오는 2030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3만장을 확보하겠다고 했는데,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GPU 외에 다양한 선택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선 AI 도입 확대로 인한 일자리 감소, 불평등 심화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김영환 민주당 의원은 “어떤 경제구조 모델을 가져야 AI의 성과를 나눌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기술 진보를 이끄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과를 분배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앞으로는 AI를 활용할 수 있는 사람과 활용할 수 없는 사람으로 나뉠 것이다. AI로 인한 격차가 경제적인 부의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