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업계 최초 중국 다이공 거래 중단
체질개선·수익성 강화 조치 차원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면세업계 처음으로 롯데면세점이 중국 보따리상(다이공)의 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지난해 비상경영에 나섰던 롯데면세점이 올해 본격 수익성을 끌어올려 체질 개선에 나서려는 의지가 반영됐다.
12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말 거래 규모가 큰 주요 다이공들에게 이달부터 면세품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다이공은 한국에서 면세품을 헐값에 대량 구매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 유통한다. 이들은 대부분 중국인들이다. 다이공은 지난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당시 중국 정부가 경제보복으로 자국 단체관광객의 한국 입국을 금지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로 입출국 관광객이 끊기자 이들의 영향력은 더 커졌다.
그동안 국내 면세점들은 중국 다이공에게 국내 면세품 정상가의 40~50%를 수수료 명목으로 환급하는 조건으로 물건을 넘겼다. 중국 다이공들은 큰 이윤을 남겼지만 면세점은 팔면 팔수록 손실을 떠안아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국내 면세점들은 지난 2023년부터 중국 다이공들의 수수료를 35% 안팎까지 낮췄다. 다만 이는 수익의 마지노선인 20%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사실상 면세점들의 수익 개선에 큰 보탬이 되지 않았다.
면세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롯데면세점 연 매출에서 중국 다이공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 수준이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누적 매출이 전년 대비 9.1% 증가한 2조4478억원으로 기록됐다. 그러나 누적 영업손실은 922억원에 달했다.
중국 다이공과 거래를 중단하면 롯데면세점의 매출은 지금보다 급감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롯데면세점이 악화된 수익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김동하 롯데면세점 대표는 지난해 12월 취임하면서 ‘면세업계 정상화’와 ‘체질 개선 노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에 앞서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6월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고강도 사업부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점포 효율화도 검토 중이다. 한 예로 롯데면세점 부산점은 기존 롯데백화점 부산점 7층과 8층에서 운영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7층을 정리하고 8층만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롯데면세점은 경영 상태가 부실한 해외 점포도 철수를 고려하고 있다. 현재 롯데면세점은 일본, 베트남, 호주 등 시내면세점 3곳과 공항면세점 10곳을 운영하고 있다.
김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과거 면세점이 볼륨 중심의 성장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수익성 중심의 경영 활동을 추진할 시점”이라며 “거시적 관점에서 사업성을 재검토하고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