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아세아아파트 개발계획안 건축심의 확정
미대사관 숙소 150가구 포함···부지 반환 가시화
“연장 구간에 대한 현장 조사 등 사전 절차 가능해져”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오랫동안 미군기지 부지 문제로 표류하던 신분당선 2단계 연장사업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아세아아파트 부지 내 미대사관 직원 숙소 이전을 위한 건축심의가 최근 통과되면서다. 강남역에서 용산역까지 이어지는 이 노선은 미군기지 부지 반환 문제로 2019년 예정됐던 착공이 5년 넘게 지연돼 왔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신분당선 2단계 연장은 현재 강남역까지 개통된 신분당선을 용산으로 확대하는 사업이다. 강남역에서 시작해 동빙고(신설)~국립박물관(신설)~용산역(정차)을 새로 짓는다.

당초 정부는 2018년 노선이 지나는 구간에 대한 현장조사와 환경영향평가, 지하안전평가 등 각종 인허가 절차를 끝내고 2019년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해당 구간이 지나는 미대사관 직원 숙소 부지가 발목을 잡았다. 이 숙소를 이전하지 않고는 현장조사와 공사를 진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미대사관 숙소 이전은 아세아아파트 부지 개발이 선행돼야 했다. 부영그룹은 2014년 아세아아파트 부지를 매입했고, 2021년 2월 용적률 340%를 적용받아 지하 3층~지상 최대 32층, 13개 동, 969가구를 건설하는 사업계획 승인을 받았다. 같은 해 5월 국토부와 미대사관은 용산공원 북측 미대사관 숙소를 기부채납하는 대신 아세아아파트 150가구와 교환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속도를 내는 듯 했다. 

그러나 미대사관에서 비상계단 설치 등 설계변경을 요청해 사업이 2년여간 지연됐다. 부영 역시 착공 지연에 대한 보상으로 용적률을 기존 340%에서 382%로 상향해달라고 요구하며 착공을 미뤘다.

/ 그래픽=시사저널e
/ 그래픽=시사저널e

분위기가 반전된 건 부영의 요구를 서울시가 받아들이면서다. 서울시는 올해 3월 제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아세아아파트 개발 용지의 용적률을 382%로 상한하는 세부개발계획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부영은 7월부터 착공을 시작해 터파기 작업을 하고 있다. 이어 이달 3일엔 미대사관 숙소 확보(150가구)와 용적률 조정(382%) 등이 담긴 개발계획안이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건축심의를 통과했다는 건 설계와 개발계획이 법적·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의미로 본격적인 착공이나 분양 준비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절차다. 부영은 내년 분양을 시작하고 2028년 준공한다는 목표다. 

숙소 이전이 확정되면서 신분당선 연장 사업도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미대사관 숙소 이전과 맞물려 해당 구간에 대한 현장 조사와 지하구조물 확인 등 본격적인 사전 절차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아세아아파트 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건 단순한 주택 개발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며 “숙소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신분당선 연장 사업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