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내 익시오 이용자 100만명 확보”
기업은 ‘익시 엔터프라이즈’로 공략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를 출시하고 인공지능 전환(AX)에 나선다. 오는 2028년까지 AI 사업에 최대 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7일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X 추진 계획을 밝혔다.
황 대표는 ‘AI 기술이 아닌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회사’를 ‘AX 컴퍼니’로 정의하고 “내재화된 AI 역량과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AX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연간 4000억~5000억원을 AI에 투자할 계획이다. 2028년까지 누적 투자 3조원을 목표로 했다.
황 대표는 “모바일 에이전트로 시작해 미디어 싱스(Things) 에이전트를 결합한 홈 에이전트 영역으로 확장해 퍼스널 에이전트 생태계를 완성할 것”이라며 “그간 LG유플러스는 IoT를 주로 했고 가전회사도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를 했다.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 돼야 가정에서 편하게 A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LG전자와도 협업해나갈 생각”이라며 “궁극적으로 모든 가전에서 협업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이날 공개한 익시오는 LG유플러스가 개발한 AI 통화 서비스로 ▲전화 대신 받기 ▲보이는 전화 ▲실시간 보이스피싱 감지 ▲통화 녹음 및 요약 기능 등을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제공한다. 애플 아이폰14 이후 모델부터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내년 1분기 출시 예정이다.
회사는 1년 내 익시오 이용자수 100만명 확보를 목표했다. 수익화보다 완성도에 집중할 계획이다.
황 대표는 “앱을 올리기만 했고, 발표가 안 된 시점에서 4000명이 다운로드를 받았다. 익시오를 쓸 수 있는 기종을 가진 고객을 환산하면 1년 안에 100만명은 확보하지 않을까 싶다”며 “조금 더 가치를 높이고 유료화를 생각하는 게 맞다. 고객이 가치 있게 생각하면, 또 없어선 안 될 서비스가 되면 (유료화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업간거래(B2B) 사업에서 AI 데이터센터(DC) 사업과 익시젠 기반의 AI 토털 솔루션 ‘익시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익시 엔터프라이즈는 AX 플랫폼들로 구성된 솔루션이다.
올해 LG유플러스는 ‘그로스 리딩 AX 컴퍼니(AI 전환으로 고객의 성장을 이끄는 회사)’란 슬로건으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황 대표는 “AX 컴퍼니로 성장하기 위해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빠르게 반영하는 고객 중심의 사고가 가장 우선돼야 한다”며 “고객의 세부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선 실력 있는 파트너와 협력도 필요하지만, 그 협력을 실현할 수 있는 우리 자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다. 여러 모델과 시스템 중에서 가장 적절한 조합을 선택하고 결합해 안정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AI 최적 조합 역량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