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규모 105조원 에너지 기업 탄생···아태지역 최대 규모
SK E&S는 SK이노 내 CIC 형태로 운영···새 사명 ‘SK이노베이션 E&S‘

SK이노베이션 E&S CI/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E&S CI/사진=SK이노베이션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법인이 1일 공식 출범했다. 통합법인 상호는 SK이노베이션이다. 이번 합병으로 올해 상반기 기준 자산 105조원 규모 아시아·태평양 지역 민간 최대 종합 에너지 회사로 발돋움한다.

이날 SK이노베이션은 SK E&S와의 합병과 함께 자회사 SK온과 SK트레이딩인터네셔널의 합병 절차도 마쳤다고 밝혔다. 내년 2월 1일에는 SK온과 SK엔텀의 합병도 마무리된다.

이번 합병으로 SK이노베이션은 석유 에너지, 화학, 액화천연가스(LNG), 전력,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등 현재와 미래의 에너지를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특히 LNG 밸류체인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에도 기존 SK E&S가 연간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창출한 기반이 된 만큼 합병법인의 안정적 수익 확보와 미래 사업 투자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합병 후 기존 SK E&S는 SK이노베이션 내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운영되며, 새로운 사명으로 ‘SK이노베이션 E&S’를 사용한다. 기존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조직 한정화로 합병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취지다.

합병 이후 SK E&S 법인은 소멸하지만 ‘SK 이노베이션 E&S’라는 새로운 CIC 브랜드와 신규 기업 이미지를 통해 지속해서 사업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조직 운영도 기존 체제를 유지해 사업 경쟁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합병에 따라 통합이 불가피한 ‘이사회 사무국’ 등 일부 조직 및 업무만 통합 운영된다.

SK온 역시 이번에 합병한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반영해 새 사명을 ‘SK온 트레이딩인터내셔널’로 정하고 CIC 체제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번 합병을 계기로 SK온은 배터리 원소재 조달 경쟁력을 높이고, 재무 건전성을 강화하는 등 본원적 사업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은 지난 7월 합병 추진 발표 직후부터 ‘통합 시너지 추진단’을 꾸려 사업 구체화를 추진했다. 이 추진단은 ▲LNG 밸류체인 ▲트레이딩 ▲수소 ▲재생에너지를 4대 즉각적 성과(Quick-Win) 사업영역으로 선정했다.

구체적으로는 SK 울산콤플렉스(CLX) 내 자가발전 설비를 갖추고 LNG를 직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력 생산·공급 안정성 제고와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SK이노베이션 E&S가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깔디타 가스전에서 추출한 컨덴세이트(천연가스 채굴 시 부산물로 생산되는 휘발성 액체 탄화수소)를 SK이노베이션이 직접 확보해 활용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최근 신설한 에너지 설루션 사업단과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해 온 에너지 설루션 사업 협업도 기대된다. 에너지 설루션 사업단은 SK그룹 관계사의 전력 수급을 최적화하는 사업,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에 토털 에너지 설루션을 제공하는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이날 구성원들에게 이메일 레터를 보내 “이번 합병으로 균형 있는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더 큰 미래 성장을 그릴 수 있게 됐다”며 “사업간 시너지로 고객과 시장을 더욱 확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도 합병법인 출범을 맞아 “합병법인의 다양한 에너지원과 사업·기술 역량을 결합해 고객과 지역 특성에 맞는 에너지 설루션 패키지를 제공하고 에너지 산업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