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별 우세 후보 달라···韓 기업,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모색
트럼프, ‘아메리카 퍼스트’ 관세 강화 정책에 글로벌 경제판도 흔들
해리스, 바이든 행정부 정책서 큰 변화 없을 전망···車·배터리 수혜 기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왼쪽)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왼쪽)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미국 대통령 선거가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어느 후보가 당선될지에 따라 국내 산업계에 미칠 후폭풍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급진적인 정책을 내세우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점진적 변화를 강조하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대결 결과는 자동차는 물론 철강, 태양광 등 다양한 산업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은 오는 5일 대선을 통해 공화당 트럼프 후보와 민주당 해리스 후보 중 1명을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한다. 백악관 입성을 판가름할 ‘7대 경합주’ 중 미시간을 제외한 6개주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해리스 부통령보다 근소하게 높은 상황이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국 선거분석 사이트 ‘리얼클리어폴리틱스(RCP)’의 7개 경합주의 10월 여론조사 평균치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지아(2.4%p)와 애리조나(2.2%p), 노스캐롤라이나(1.0%p), 펜실베이니아(0.6%p)와 위스콘신(0.6%p), 네바다주(0.5%p) 등에서 더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다. 해리스 후보는 미시간에서만 0.5%p 더 높았다.

반면 개별 여론조사에서는 경합주에서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이 높거나, 두 후보가 동률로 나오는 결과도 있다. 미국 블룸버그와 모닝컨설트의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마다 다른 결과로 어느 후보의 당선을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 이어지자 국내 산업계는 후보별 당선 시나리오를 마련해, 내년 실제 행정부 출범 후 나타날 파장에 대비하려 한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트럼프 행정부 시즌2’다. 국제 통상·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당선될 경우 글로벌 경제 판도가 다시 뒤흔들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1기 행정부 때보다 더 강력한 정책이 시행될 공산이 커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보편·상호 관세와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기조로 대미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자동차와 철강, 배터리 분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타결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재개정 협상은 자동차와 철강 등 국내 주요 수출 산업의 성장 기회를 막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할 경우 자동차·철강 등 대미 무역흑자가 큰 품목에 대한 통상 압박이 강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수동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FTA 재개정뿐만 아니라, 무역수지 개선과 결부된 다른 요구사항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 측이 무역 및 통상 압력을 행사할 때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품목에 대해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제공되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도 폐지될 우려도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IRA 및 AMPC가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수차례 폐지 등을 언급한 바 있다.

산업연구원은 해리스 부통령 당선 시에는 자동차와 배터리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무역·통상 정책에서 크게 변화되지 않을 것이란 예측에서다. 오히려 현재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김봉만 한국경제인협회 국제본부장은 “두 후보의 정책 기조가 2020년 대선보다 차이가 더 벌어졌다”며 “특히 에너지 정책에 있어 이견이 큰 만큼 해당 업계는 현지 상황 파악은 물론 대응책 모색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